Search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 우즈베크 국가의 목화 전쟁 (Cotton war)

정길선 칼럼니스트 l 기사입력 2024-12-13

본문듣기

가 -가 +

▲필자/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우즈베크 족들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는듯 하였으나 사파비 왕조에서 호라산 지역의 투르크멘 부족들을 통제하는데 실패하면서 이 지역에 쉬아 이슬람의 영역으로 만드는데는 실패했고, 그 결과 오늘날의 우즈베키스탄과 이란 사이에는 투르크멘 족이 주로 거주하게 되어 투르크메니스탄이 세워지는 계기가 되었다. 우즈베크인들은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코칸드 칸국 등 여러 개의 나라로 분열되었으나 무굴 제국에 말을 수출하며 번영을 누렸다. 스텝 지대에서 기른 말들은 인도 아대륙에서 키운 말보다 더 크고 영양 상태가 좋았다. 

 

유럽에서 무굴 제국으로 은화가 쏟아져 들어오자 상당 부분은 좋은 말을 사는데 지출되었다. 말 교역은 이문이 많이 남는 장사로, 말 수요에 비해 항상 공급이 모자라서 일년에 수천 마리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말 교역에 의한 이문이 증가하면서 우즈베키스탄에서 인도 북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도로와 다리가 정비되고 여행자 숙소가 개선되는 등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투자는 물론 우즈베크 도시들의 부흥으로 이어졌다.

 

이 때 나타난 인물이 러시아에서 파견된 니콜라이 이그나티예프(Николай Игнатьев) 백작이었다. 니콜라이 이그나티예프는 러시아 매파 단원 중 한 사람으로 1858년에 그는 차르의 사절단을 이끌고 히바 칸국으로 갔는데, 통상 교섭을 다 마무리하고도 작은 사건 하나에 칸이 뒤집는 것을 보고 그곳을 무력으로 점령해야 하겠다는 견해를 갖게 되었다. 이어 부하라 칸국도 방문해 중앙아시아에 대한 보고서를 썼다. 그는 보고서에서 “영국이 선수를 치기 전에 중앙아시아의 칸국들을 합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후 그는 북경에 파견되어 영국과 프랑스가 청(淸)나라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그들을 쫓아내 주겠다는 명분으로 1860년 연해주 일대를 러시아 영토를 만드는 북경 조약 체결에 성공한다. 그는 28세의 젊은 나이에 마키아벨리와 같은 수완을 가지고 러시아 영토를 확장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차르로부터 훈장을 받고 매파의 선두에 섰다. 그 무렵 미국에서 남북전쟁(1861~1865)이 발발해 면화 생산이 중단되면서 국제 면화가격이 급등했고 이러한 상황은 면화 생산이 알맞은 중앙아시아가 러시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중앙아시아는 앞서 말한 것처럼 면화 재배에 매우 적당한 지역이었다. 러시아 매파들은 면화 생산으로 큰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로 봤다. 매파들은   중앙아시아를 정복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특히 이그나티예프는 이들 지역에 대한 정복만이 확실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당시 크림 전쟁(1853∼1856)에서 완패한 이후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렇기에 러시아의 팽창을 계획하는 강경파들에게는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으로도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했다. 그러한 강경파들의 갈망과 매파들의 경제적 욕구가 맞아떨어진 곳이 바로 중앙아시아였다.

 

당시 중앙아시아 국경 지대에 주둔하고 있는 러시아 군 지휘관은 미하일 체르냐예프(Михаил Черняев) 소장이었다. 그는 히바와 부하라,  타슈켄트, 코칸트와 페르가나, 키르기스스탄의 영토까지 노리고 있었다. 이러라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의 히바 칸국 원정에 대한 목표 중 하나는 목화재배를 위한 아랄 해의 연구였다. 이 지역의 해변과 모래 사장 등은 당시 지리학자에게 관심이 많았던 것이 키질쿰 사막과 카라쿰 사막이 밎닿은 곳, 외부의 위협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면화 생산이 가능한가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필요했던 것이다.

 

아무다리야 강의 흐름이 카스피 해를 흐르게 하거나 모양을 바꿀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당시 지리학자들에 있어서도 주 관심사 중 하나였다. 이러한 문제는 면화 생산 뿐 아니라 총체적으로 새롭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강 무역로를 얻어야 하는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의 주요 관심사이기도 했다. 사실, 히바 칸국 지역에서 나오는 대량의 목화는 그 당시에 비싸게 팔 수 있었다. 목화를 카자흐스탄 대초원을 통해 긴 거리를 이동하는 대신 빠르고 안전한 아무다리야 강, 그 당시에는 카스피 해를 통해 흘러간다고 생각했으며 이 강을 통해 무역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 원정 당시 보트와 카누를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카스피 해와 아랄 해 사이 해수면 높이차를 측정할 예정이었다. 

 

이어 지리학자인 파벨 니벨리로브크(Павел Нивелировк)는 히바까지 간 이후 다시 돌아올 예정이었다. 이후 히바 원정과 동시에 알렉세이 치카체프(Алексей Чикачев)는 기병 대위에서 은퇴했으며, 이후 파미르고원 산맥 연구 센터장으로 취임했다. 거기에서 그는 인도를 통해 티베트까지 탐험했으며 이후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으로 다시 돌아와야 했다. 결과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히바 원정은 실패했다. 부대들은 추위와 질병 등으로 인해 1,054명이 사망하고 오렌부르크로 되돌아와야 했다. 604명은 원정 도중 괴혈병이 일어나 귀환하여 입원했지만 이들 중 대다수가 사망했다. 

 

600명이 히바 칸국에서 포로가 되거나 낙오하여 결국 1840년 10월에는 전쟁 시작 전 국경으로 되돌아왔다. 그러나 히바 칸은 칙령을 발표하여 포로의 반환과 함께 칸국의 백성들이 러시아인 또는 다른 대초원 지역에서 러시아인 노예를 사들이는 것을 금지시켰다. 이 원정은 페로브스키가 이끄는 러시아 군의 완벽한 참패에도 불구하고 히바 칸국의 쿨리 칸은 계속해서 러시아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Cotton War of the Romanov Empire of Russia and the Uzbek State

Focusing on the Khanate of Khiva and the Great Game

 

-Columnist Jeong Gil-seon

 

The Uzbeks seemed to be under Persian rule, but the Safavid dynasty failed to control the Turkmen tribes in the Khorasan region, and failed to make the region a Shia Islamic territory. As a result, the Turkmen people mainly lived between present-day Uzbekistan and Iran,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urkmenistan. The Uzbeks were divided into several states, including the Khanate of Bukhara, the Khanate of Khiva, and the Khanate of Kokand, but they prospered by exporting horses to the Mughal Empire. Horses raised in the steppe were larger and better-nourished than those raised in the Indian subcontinent.

 

As silver money poured into the Mughal Empire from Europe, a significant portion of it was spent on purchasing good horses. Horse trade was a very profitable business, and the supply of horses was alway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so supplying only a few thousand horses a year was not enough. As the profit from horse trade increased, investments were made in areas corresponding to northern India in Uzbekistan, such as roads and bridges, and improved accommodations for travelers. These investments, of course, led to the revival of Uzbek cities.

 

At this time, Count Nikolai Ignatiev, who was dispatched from Russia, appeared. Nikolai Ignatiev was one of the Russian hawks. In 1858, he led the Tsar's delegation to the Khiva Khanate, and after seeing the Khan overturn a small incident even after completing all trade negotiations, he came to the view that the place should be conquered by force. He then visited the Bukhara Khanate and wrote a report on Central Asia. In his report, he argued that "the Central Asian khanates should be annexed before Britain strikes first."

 

After that, he was dispatched to Beijing and succeeded in concluding the Treaty of Peking in 1860, which made the Maritime Province Russian territory under the pretext of driving out Britain and France, who were threatening the Qing Dynasty. At the young age of 28, he contributed greatly to expanding Russian territory with his Machiavelli-like skills. He returned to St. Petersburg, received a medal from the Tsar, and became the leader of the hawks. At that time, the American Civil War (1861-1865) broke out and cotton production was halted, causing international cotton prices to skyrocket. This situation brought Central Asia, where cotton production was suitable, to Russia's attention.

 

As mentioned earlier, Central Asia was a very suitable region for cotton cultivation. Russian hawks saw it as an opportunity to make a lot of money through cotton production. The hawks insisted that Central Asia should be conquered, and Ignatiev in particular insisted that conquering these regions was the only sure way. At that time, Russia was suffering from serious aftereffects after its crushing defeat in the Crimean War (1853-1856). Therefore, the hardliners who planned Russia's expansion needed a new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breakthrough. The place where the hardliners' desires and the hawks' economic needs met was Central Asia.

 

At that time, the commander of the Russian army stationed in the border region of Central Asia was Major General Mikhail Chernyaev. He was targeting Khiva, Bukhara, Tashkent, Kokand, Fergana, and even the territory of Kyrgyzstan. One of the goals of the Russian Romanov Empire's expedition to the Khiva Khanate was to study the Aral Sea for cotton cultivation. The beaches and sandy beaches of this area were of great interest to geographers at the time, as they need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stable cotton production in the area where the Kyzyl Kum and Karakum deserts meet, without external threats.

 

One of the main concerns of geographers at the time was whether the flow of the Amu Darya River could change the shape or flow into the Caspian Sea. This issue was not only a matter of cotton production, but also a major concern for the Romanov Empire, which needed to secure a new and strategically important river trade route. In fact, the large amount of cotton produced in the Khiva Khanate region could be sold at a high price at the time. Instead of transporting cotton over a long distance through the Kazakh steppes,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flow through the fast and safe Amu Darya River, which at the time was the Caspian Sea, and that trade would be possible through this river. During this expedition,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boats and canoes. In addition, the plan was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sea level between the Caspian Sea and the Aral Sea.

 

Then geographer Pavel Nivellirovk was to return after reaching Khiva. At the same time as the Khiva expedition, Alexei Chikachev retired from the rank of cavalry captain and later became the head of the Pamir Mountains Research Center. From there, he explored through India to Tibet and then had to return to the Russian Romanov Empire. As a result, the Russian Khiva expedition was a failure. The troops died of cold and disease, and had to return to Orenburg, with 1,054 men. 604 men returned home hospitalized after contracting scurvy during the expedition, but most of them died.

 

600 men were captured or dropped out of the Khiva Khanate, and eventually returned to the border before the start of the war in October 1840. However, Khiva Khan issued a decree prohibiting the return of prisoners and the purchase of Russian slaves from Russians or other steppe regions by the subjects of the Khanate. Despite the complete defeat of the Russian army led by Perovsky in this expedition, Kuli Khan of Khiva Khanate continued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Russia.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Novatopos member,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naver band URL복사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