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최초의 한일 가왕전이 열린다

이일영 칼럼니스트 l 기사입력 2024-03-03

본문듣기

가 -가 +

▲ 2024 한일 가왕전 / 한일 대표 TOP7 / 출처: MBN 홈페이지 & 방송 캡쳐 © 이일영 칼럼니스트  © 이일영 칼럼니스트


한국과 일본의 가요사에서 최초인 한일 가왕전이 MBN에서 3월 26일(화) 밤 10시 첫 방영된다. 

 

대한민국 MBN 방송사에서 기획한 서바이벌 음악 예능 프로그램 현역가왕에서 선발된 여성 가수 TOP7과 일본의 트롯 걸스 재팬(TROT GIRLS JAPAN)에서 선발된 여성 가수 TOP7이 경연하는 최초의 한일 국가 대중가요 경연이다. 3차전으로 펼쳐질 한일 가왕전은 1차전에서 한국과 일본 대표 TOP7이 일대일 라이벌전으로 격돌한다. 이는 대중가요의 세계화라는 의미와 함께 최초로 열리는 한일 양국의 우호적 교류와 경연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리의 대중가요 트롯(trot)과 일본의 대중가요 엔카(演歌)는 각 나라의 오랜 역사의 숨결을 품고 시대의 거울이 되어 국민의 노래로 정착하였다. 

 

역사란 유구한 과거의 실체이며 시대는 역사 속에서의 문화와 사회적 변화를 주도한 특정한 시기이다. 이는 문화와 사회 상황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시대의 거울과 숨결이 바로 대중가요이다.  

 

우리의 트롯과 일본의 엔카는 일제 강점의 그릇된 역사 속에서 불가분한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그러나 역사와 시대를 품은 저마다의 고유한 감성과 정서로 녹아내렸다. 

 

오늘날 우리 대중가요 트롯(trot)은 1910년 무렵 미국에서 탄생한 초기 재즈 리듬의 사교댄스 폭스트롯(fox-trot)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그러나 폭스트롯과 대중가요 트롯의 음악적 연관성은 전무하다. 이러한 사실은 중요하다. 어떤 대상의 명칭은 기본적으로 긴밀한 바탕의 연관성을 갖기 마련이다. 그러나 우리 대중가요 트롯이 음악적 연관성이 전무한 서양 춤곡의 명칭을 갖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먼저 우리 가요사를 정리하면 고유한 전통 민요를 바탕으로 신민요가 생겨났으며 개화기 기독교가 유입되면서 서양음악을 바탕으로 계몽적 창가가 탄생하였다. 이 시기는 일제 강점기와 맞물려 관립학교에서부터 일본식 창가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에 민족의 희망인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의 소중함을 일깨운 선구자들에 의하여 동요가 탄생하였던 시기이다. 

 

이러한 역사에서 서양음악에 바탕을 두었던 우리의 성악 가곡이 생겨났으며 당시 노래를 재현한 유성기(축음기)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시대의 변화와 감성을 품은 대중가요 유행가들이 생겨났다. 특히 멀리 미국이거나 일본에 가서 녹음해야 했던 상황에서 경성 녹음실 시대가 열리면서 1925년 발표한 도월색의 시들은 방초는 일본 엔카의 번안이었으며 1926년 윤심덕이 일본으로 건너가 취입한 사의 찬미로 정리되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가요는 외국곡 번안이었다.

 

이후 일본 엔카의 번안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바탕에서 우리 표준국어대사전은 트로트를 (일본 엔카에서 들어온 음계를 사용한 대중가요이며 영어 단어 trot의 일본식 발음 도로토(トロット)에서 유래된 것)으로 정리하고 있다. 

 

폭스트롯(fox-trot)을 일본인은 보쿠스 토로토(フォックストロット)로 발음한다. 당시 우리 언론을 헤아리면 처음에 폭스트롯으로 기록하였으나 한 달 후 폭스 트로트로 바꾸어 기록하기 시작하였던 다음과 같은 사실을 살피게 된다. 

 

▲ (상) 도표1-1927년 2월 15일 자 조선일보 폭스트롯 (하) 도표2-1927년 3월 21일 자 조선일보 코욕스트로트  © 이일영 칼럼니스트

 

(도표-1)의 1927년 2월 15일 조선일보 라디오 방송 안내에 폭스 트롯이라는 기록이 처음 등장하였다. 그러나 한 달 후인 1927년 3월 21일 (도표-2) 조선일보는 라디오 방송 안내에서 트롯을 코욕스 트로트라고 보도하였다.  

 

코욕스 트로트는 퀵스텝(quickstep)이라는 두 사람이 추는 빠른 춤곡의 음악을 일본식 발음에 기인하여 기록한 것으로 살펴진다. 퀵스텝 춤은 폭스트롯을 바탕으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항구 부두 노동자들에게서 생겨난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의 춤 찰스턴(Charleston)과 스윙 댄스 쉐그(shag) 그리고 폭스트롯에서 진화한 피바디(Peabody) 댄스 등이 종합된 춤이었다.  

 

이어 (도표-3)의 1927년 3월 23일 자 조선일보에 포크 트로트가 등장하였으며 (도표-4)의 3월 30일 자 조선일보에 폭스 트로트로 기록되었다. 이처럼 불과 한 달 만에 트롯에서 트로트로 바뀌어 기록한 배경은 무엇일까? 

 

필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한다. 당시 최초의 나라말 연구학회인 조선어연구회가 1927년 2월 10일 기관지 한글을 창간하여 민족정신을 매만지고 2월 15일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진영이 일체가 되어 항일 단체 신간회를 결성하였다. 이에 일본은 대한 독립 만세 운동 일이었던 삼일절을 택하여 1927년 3월 1일 일본사 교과서 명칭을 국사로 개정하는 강수를 두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트롯(trot)을 일본식 표기 도로토(トロット)에 기반한 트로트라는 명칭으로 강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상) 도표3-1927년 3월 23일 자 조선일보 포크트로트 (하) 도표4-1927년 3월 30일 자 조선일보 폭스트로트  © 이일영 칼럼니스트

 

중요한 사실은 당시 트롯이라는 명칭은 대중가요가 아닌 초기 재즈 리듬의 사교댄스 폭스트롯(fox-trot)에서부터 시대의 유행을 거머쥔 다양한 장르의 춤곡을 이르는 명칭이었다.  

 

이러한 폭스트롯이 탄생한 배경을 엄밀하게 헤아리면 경주마의 발이 대각선을 이룬 상태에서 두 다리가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는 보폭의 가장 균형적인 걸음을 이르는 트로트(trot)에서 유래된 것임을 헤아릴 때 트로트와 트롯의 표기 논쟁은 무의미하다. 나아가 폭스트롯이거나 다양한 춤곡 트롯이 시대의 감성을 담아온 대중가요 트롯의 음악성과 전혀 무관한 점에서 더욱더 그러하다.     

 

더욱더 중요한 사실은 우리의 역사는 서양의 춤곡 폭스트롯과 엄밀하게 구분하여 대중가요를 유행가로 불러온 사실이다. 이를 살펴보면 (도표-5)의 1926년 7월 15일 자 동아일보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안내에 유행가 ‘콘도라’. ‘푸른별’ ‘배노래’를 소개하고 있다. 이는 1924년 최초의 동요 반달을 발표한 출생과 생몰년도 마저 명확하지 않은 선구적 가수 이정숙(李貞淑)이 부른 노래였다. 

 

▲ (도표-5) -1926년 7월 15일 자 동아일보 유행가  © 이일영 칼럼니스트

 

다시 정리하면 1927년에 기록된 춤곡 트롯과 트로트에 앞서 1926년 대중가요를 유행가로 기록한 내용은 이보다 훨씬 빠른 1920년대 초부터 이미 대중가요를 유행가로 기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역사에서 오늘날 우리의 대중가요 명칭이 트롯(트로트)으로 정착한 배경과 일본 대중가요 엔카와의 역사적 연관에도 많은 이야기가 있다. 기회가 되면 살펴보기로 한다.

 

오랜 역사 속에서 한국과 일본은 문화의 수용과 교류를 지속하여왔다. 어느 나라이건 문화는 교류 속에서 발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중의 숨결과 같은 대중가요의 경연인 최초의 한일 가왕전에 거는 기대가 크다. 양국 문화의 나눔과 존중을 통하여 오랜 역사의 갈등을 극복하고 우호와 협력의 소중함을 일깨워 미래로 향하는 다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까닭이다. artwww@naver.com

   

필자: 이일영

한국미술센터 관장. 칼럼니스트. 시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first Korean-Japanese King of Japan exhib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Japanese songs will premiere at 10 p.m. on March 26 (Tue) on MBN. 

 

It is the first Korean-Japanese national pop song competition between TOP7, a female singer selected from the survival music entertainment program "King of Singers," organized by MBN Broadcasting of Korea, and TOP7, a female singer selected from "TROT GIRLS JAPAN" of Japan. The third round of the Korean-Japanese singing competition will see TOP7, representative of Korea and Japan, compete in a one-on-one rivalry in the first round. This is noteworthy in that it is the first friendly exchange and contest between Korea and Japan, along with the meaning of the globalization of popular songs

 

Our popular song trot and Japanese popular song Enka (演歌) became a mirror of the times with the breath of each country's long history and settled as a song of the people. 

 

History is an entity of the long past, and times are specific periods that have driven cultural and social changes in history. This leads to cultural and social situations. The mirror and breath of an era like this are popular songs.  

 

In the false history of the Japanese occupation, our trot and the Japanese enka are inextricably linked. However, they have melted into their own emotions and emotions that embrace history and times. 

 

Today, our popular song trot originated from the fox-trot, a social dance of early jazz rhythms born in the United States around 1910. However, there is no musical connection between the fox trot and the popular song trot. This fact is important. The name of an object is basically boun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However, what is the background that our popular song trot got the name of a Western dance song with no musical connection? 

 

First of all, when we summarize our music history, new folk songs were created based on unique traditional folk songs, and as Christianity was introduced during the enlightening period, an enlightening window was born based on Western music. This period coincided with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Japanese singing education began at government schools. Thus, it was a time when children's songs, the hope of the nation, were born by pioneers who awakened the importance of songs sung by children. 

 

In this history, our vocal songs, which were based on Western music, were created, and as the voice (phonograph) reproduced the songs at the time began to spread, popular songs with changes in the times and sensibilities were created. In particular,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seong recording studio era when they had to go to the U.S. or Japan as far away, Bangcho was an adaptation of Enka in Japan, and Korea's first popular song, which was organized as a praise of the history that Yoon Shim-deok moved to Japan in 1926, was an adaptation of foreign songs.

 

Since then, the adaptation of Japanese Enka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Based on this, the Korean Standard Dictionary organizes trot (popular song using the scale from Japanese Enka and derived from the Japanese pronunciation Doroto (トロット) of the English word trot). 

 

The Japanese pronounce fox-trot as Bokus Toro (フォックストロット). When we count our media at the time, we will look at the following facts that were initially recorded as foxtrot, but after a month, we changed it to foxtrot and began recording. 

 

The record Fox Trot first appeared in the Chosun Ilbo's radio broadcast guide on Feb. 15, 1927. However, a month later, on March 21, 1927, the Chosun Ilbo reported that the trot was a Coyox Trot in its radio broadcast guide.  

 

The Coyox trot is thought to be a record of the music of a fast dance song performed by two people called Quickstep due to Japanese pronunciation. Based on Foxtrot, the Quickstep dance was a combination of African-American black dances Charleston, swing dance Shag, and Peabody dances that evolved from Foxtrot.

 

Then, folk trot appeared in the Chosun Ilbo on March 23, 1927 by (Dopyo-3), and was recorded as Fox trot in the Chosun Ilbo on March 30 by (Dopyo-4). What is the background of this record by changing from trot to trot in just a month? 

 

The author summarizes the following. On February 10, 1927,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the first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at that time, launched the journal Hangeul to smooth the national spirit, and on February 15, the nationalist and socialist camps united to form the Singanhoe, an anti-Japanese group. Accordingly, Japan chose Samiljeol, which was the da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Korea, and on March 1, 1927, the name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was revised to the national history.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possible that the name of the trot was forced under the name of the trot based on the Japanese notation Doroto (トロット). 

  

Importantly, the name trot at the time was not a popular song, but a name ranging from fox-trot, a social dance with an early jazz rhythm, to dance songs of various genres that were popular.  

 

The controversy over the notation of trot and trot is meaningless, considering that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Foxtrot is derived from a trot that leads to the most balanced step of the two legs moving forward at the same time while the feet of the racehorse are diagonally formed. Furthermore, it is all the more so in that Foxtrot or various dance song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musicality of popular song trot, which has carried the sensibility of the times.     

 

More importantly, our history is a fact that popular songs have been brought as popular songs, strictly distinguished from Western dance songs such as Foxtrot. Looking at this, "Condora," a popular song, is introduced in the radio broadcast program guide of the Dong-A Ilbo on July 15, 1926. "Blue Star" and "Bae Song" are introduced. It was a song sung by pioneering singer Lee 貞淑, whose birth and death were not even clear, who announced the first children's song "Bandal," in 1924. 

  

In other words, popular songs were recorded as popular songs in 1926 prior to the dance songs trot and trot recorded in 1927, and popular songs were already recorded as popular songs since the early 1920s, much earlier than this.       

 

In this history,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our popular song name as trot today and the historical connection with Japanese popular song Enka. We will look into it when we have a chance.

 

Over a long history, Korea and Japan have continued to accept and exchange cultures. In any country, culture develops in exchange. In this context, there is a high expectation for the first Korean-Japanese King of Kings, a contest of popular songs such as breathing from the public. This is because it is highly likely to become a bridge to the future by overcoming long-standing conflicts through sharing and respecting the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and by awakening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rtwww@naver.com

   

Author: Lee Il-young

Director of the Korean Art Center. Columnist. Poet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naver band URL복사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