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정원 묵상(garden medition)’...“사람은 신비(神祕) 덩어리”

문일석 발행인 l 기사입력 2024-08-02

본문듣기

가 -가 +

필자의 회사에 설치된 '웃음종교 1호 전파사'. 조각제목=“나는 나를 생각하고 있다(I am thinking of me)” . ©브레이크뉴스

 

필자는 최근 회사(브레이크뉴스-자체 건물) 외부를 정원화(庭園化) 했습니다. 비좁지만, 꽃나무들을 심은 화분을 설치하고, 몇 가지의 조각 작품들도 배치했습니다. 여러 군데에 앉을 수 있는 야외용 의자-테이블도 설치했습니다. 

 

바로 옆이 서울시 상수도국이고, 상수도국이 입구에 멋있는 정원을 꾸며 놓아서 조망권이 뛰어납니다.

 

이렇게 꾸며진, 정원에 앉아 삶의 여러 가지를 묵상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오늘의 정원 묵상(默想-garden medition) 주제는 인간 생명(生命)이 지닌 신비(神祕)입니다. 

 

거슬러 올라가면,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은 정자(精子)와 난자(卵子)의 결합이 만들어낸 거대한 역사(役事)입니다. 다시 말하면 부모의 성이 조합(調合)해낸 위대한 결실물입니다. 아주 신비한 일입니다, 사람은 곧 신비 덩어리입니다. 

 

그러하니 스스로를 스스로가 잘 지키고, 잘 간수(看守)해야만 합니다.

 

사람이 사람으로 태어날 수 있는 확률은 숫자로 표현하기가 힘이 듭니다. 종교의 힘을 빌린다면, 불교에서는 시간 개념으로 '윤회'를 말합니다.

 

왼쪽이 필자(문일석 본지 발행인). ©브레이크뉴스

인공지능(AI) 포털사이트인 ‘뤼튼’은 이에 대해 “억겁은 수많은 세월을 의미하며, 불교에서는 이 시간을 통해 생과 사의 순환인 윤회를 설명한다. 불교의 가르침에 따르면, 모든 존재는 끊임없이 윤회하며, 생명체는 여러 형태로 태어나고 죽어가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각 존재는 자신의 업(행위)에 따라 다음 생의 형태가 결정된다. 억겁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윤회의 긴 시간 동안의 고통과 번뇌를 강조하며, 이로 인해 깨달음을 얻고 해탈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상기시킨다. 억겁의 개념은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이 얼마나 귀중한 기회인지를 보여준다. 불교에서는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이 깨달음을 얻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상태라고 가르치기 때문에, 억겁이라는 긴 시간과 그 속에서의 경험이 의미를 갖게 된다.”면서 “억겁은 불교에서 매우 긴 시간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정확한 연수로 환산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한 겁(1겁)은 약 8,400,000년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억겁은 이 숫자를 바탕으로 계산할 수 있다. 1억 겁은 약 8,400,000,000,000년, 즉 84조 년에 해당한다. 이는 우주의 나이와 비교해도 매우 긴 시간이다. 불교에서 억겁은 윤회와 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라고 전해준다. 쉽게 풀이하면, 한 사람이 살고 있다는 것은  최소한 84조 년이 필요했다는 것입니다. 귀하다 귀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합니다. 한 사람 인간은 곧 보석(寶石) 덩어리라는 이야기입니다. 아주 귀중하다는 것입니다. 

 

필자 회사의 정원.  ©브레이크뉴스

 

나무들이 우거져 있는 정원에서 인간존중의 의미를 재발견합니다.

 

나는 금덩어리 같은 존재입니다. 나라는 존재는 신비 덩어리입니다. 그러하니, 하하하...웃으면서 삽시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AI 라이터. 본지 발행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arden Meditation’... “People are a bundle of mystery”

[Essay-like Approach] “I rediscover the meaning of respect for humanity in a garden filled with trees!”

- Moon Il-suk, publisher of a newspaper

 

- I recently turned the exterior of my company (Break News - our own building) into a garden. Although it is small, I installed flower pots with flowers and trees and placed several sculptures. I also installed outdoor chairs and tables where people can sit in various places.

Right next door 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terworks Bureau, and the waterworks bureau has decorated a beautiful garden at its entrance, so the view is excellent.

I decided to sit in this decorated garden and meditate on various aspects of life.

The theme of today’s garden meditation is the mystery of human life.

Going back, all living people are a great history created by the union of sperm and egg. In other words, they are the great fruit of the combination of their parents’ surnames. It is a very mysterious thing. People are a bundle of mysteries.

Therefore, we must protect ourselves and take good care of ourselves.

The probability of a person being born as a human is difficult to express in numbers. If we borrow the power of religion, Buddhism uses the concept of time as a term called ‘reincarna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portal site ‘Luton’ explains this by saying, “Eon means countless years, and Buddhism explains reincarnation, the cycle of life and death, through this time. According to Buddhist teachings, all beings are constantly reincarnated, and living beings repeat the process of being born and dying in various forms. In this process, the form of each being’s next lif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ir karma (actions). The term eon emphasizes the suffering and agony of this long period of reincarnation, and reminds us of how important it is to attain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from it. The concept of eon shows how precious an opportunity it is to be born as a human. Since Buddhism teaches that being born as a human is the state with the greatest possibility of attaining enlightenment and, furthermore, escaping the suffering of reincarnation, the long period of time called eon and the experiences within it become meaningful.” “Eon is a concept that means a very long time in Buddhism, and it is difficult to convert it into an exact number of years. One eon (1 e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bout 8,400,000 years. Therefore, eon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is number. 100 million eon is about 8,400,000,000,000 years, or 84 trillion years. This is a very long time compared to the age of the universe. In Buddhism, eon is a concept us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incarnation and karma.” To put it simply, it means that it took at least 84 trillion years for one person to live. It is a precious existence.

Let me summarize again. It is a story that a single human being is a lump of jewels. It is very precious.

In a garden filled with trees, I rediscover the meaning of human respect.

I am a lump of gold. I am a lump of mystery. So, hahaha... Let's live while laughing!

moonilsuk@naver.com

*Author/Moon Il-suk. Poet. AI writer. Newspaper publisher.

 

- 'Laughter Religion No. 1 Radio Station' installed in the author's company. Sculpture title = "I am thinking of me"

- Left is the author (Moon Il-seok, publisher of this newspaper).

- The garden of the author's company.

광고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