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애초에는 정치권력이 경제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활동의 자유가 건전하게 유지되었는데 불행하게도 현대의 장치현황은 통화량을 증가하면 정치는 그 권력의 확장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을 터득하게 되어 통화량 증가가 정치권력의 필수적인 요건이 되어버린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 결과로 정치인들의 정치적 이념과 권력 유지의 수단은 어떤 경제적 정책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역사적으로 가장 큰 경제체제의 변화는 거의 대부분의 왕국 정치체제가 마르크스의 경제이념에 따른 소련과 중공이 지배했던 공산주의 정치권력 경제체제와 자유주의 시장경제를 근거로 하는 민주주의 국가경제체제로의 분할로 나타난 것이었다. 그런데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실질적인 효과가 공산주의 체제와 비교하면 명확히 우선적인 결과를 보이자 다수의 국가가 시장경제 체제를 선택하게 되었지만 정치적인 목표가 경제의 실질적인 결과보다 언제든 우선적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본주의 시장경제 국가들은 점차 정치의 경제관여를 강력하게 실행하였는데 그 수단이 바로 금본위 통화제도를 벗어난 현행의 명목화폐 통화제도이다. 한국은 박정희 대통령 시기까지는 통화량 증가가 아닌 실질적인 부의 생산 증가로 경제발전을 이룩하였지만 1985년 이후부터는 급격한 통화량의 증가가 일어나서 그 결과는 비록 경제성장에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점차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이런 결과를 낳은 것이 바로 명목화폐 통화제도로 이제는 이를 당연한 경제의 현실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예를 들면 1983년의 통화량(M2)은 30,006.7(십억)이었는데 2024.8 현재까지 41년의 기간이 지난 지금의 통화량은 4,065,264.1(10억)으로 135배 증가했다. 정치권력 마다 정치적 이념과 목적이 상이하고 국민들의 상식과 심리적 주장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런 통화량 변화가 영향을 주는 집권세력의 경제해결책은 수시로 변화를 일으켰는데 공통적인 것은 그 결과가 일괄적으로 통화량의 지속적인 증가를 일으킨 경제의 현실이다.
다음의 통계표에 표시한 숫자는 문재인 정권과 윤석열 정권이 보여주는 통화량과 통화량 증가에 큰 영향을 주는 국채의 통계이다. 월평균 국채의 증가가 비슷한 것은 두 정부 모두는 세수의 증가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채의 증가가 불가피한 것이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반면 월평균 통화량의 증가는 문재인 정권의 경우에는 20,509.2(10억)로 윤석열 정부의 13,905.4(10억)의 약 1.5 배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두 정부의 통화량 증가는 비록 차이가 있긴 했지만 모두 물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국민의 실질적인 삶은 보다 가난해지게 된 것이 현재의 경제 현상이다. 문재인 정권 기간에 비해 윤석열 정부 이후의 상대적인 통화량 증가율 감소는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의 상승이 주원인으로 볼 수 있다. 문재인 정권 시절의 이런 폭발적인 통화량 증가는 부동산 및 주식가격 등 자산의 가격을 상승시켜 이들 자산의 보유자에게는 큰 이익을 주었지만 이에 반하여 자산을 보유하지 못한 실질적인 경제주체는 상대적으로 더욱 가난해지는 빈익빈 부익부의 칸티온(Cantillon) 경제효과를 낳았다. 불행하게도 어느 정파가 집권하든 정부 권력은 이런 통화량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어떤 정책도 이행되지 않았던 것이 현실이었다.
현행통화제도가 주는 이런 부의 양극화와 경제의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현명한 경제주체는 벌어들인 자금으로 금과 은 혹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화폐에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를 현명한 경제적 의사결정으로 동의하고 있다.
11월 3일의 언론은 한국은행이 대출 금리를 3.5%에서 3.25%로 인하했으나 시중은행은 한국은행의 결정과는 무관하게 오히려 금리를 인상하는 결정을 하여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라 보도한 바 있다. 자유시장 경제는 소비자의 시간선호도(time preference)에 따라 시장의 금리가 결정되는데 이런 건전한 경제를 필요로 하는 시장의 자유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라진 것이 바로 오늘날의 경제현상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자유시장 경제 논리는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받아들이지 않는 데 그 결과는 바로 국민의 반대가 없는 급속한 통화량의 증가로 나타나 그로 인해 빈부격차와 경제의 비효율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따라서 기술의 발전과 경제인들의 합리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암울한 미래를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우리가 예상하는 미래의 경제 현실이다. andrewkwlee@naver.com
*필자/이길원 경제학 박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conomic Reality of the Current and Past Regimes' Continuous Increase in Money Supply
-Dr. Gilwon Lee, Economics
In the beginning,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did not have much influence on the economy, so the freedom of economic activity was maintained soundly. Unfortunately,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politics has learned that increasing the money supply greatly helps expand its power, and the increase in money supply has become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political power. As a result, the political ideology of politicians and the means of maintaining power are greatly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economic policy they choose.
The biggest change in economic systems in history was the division of most kingdom political systems into the communist political power economic system dominated by the Soviet Union and China based on Marx's economic ideology and the democratic national economic system based on the liberal market economy. However, as the actual effects of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clearly showed superior results compared to the communist system, many countries chose the market economy system, but since political goals are alway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actual economic results, most capitalist market economy countries gradually implemented strong political involvement in the economy, and the means for this is the current nominal currency system that broke away from the gold standard currency system. Until the time of President Park Chung-hee, Korea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an increase in actual wealth production rather than an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but after 1985, a rapid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occurred, and although the result greatly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it gradually caused many problems. The nominal currency system that led to this result is now accepted by most people as a natural economic reality. For example, the money supply (M2) in 1983 was 30,006.7 (billion), but after 41 years as of 2024.8, the current money supply has increased 135 times to 4,065,264.1 (billion). Since each political power has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and goals, and the common sense and psychological claims of the people are also different, the economic solutions of the ruling party affected by these changes in the money supply have changed frequently, but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e economic reality that the result has consistently caused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The numbers shown in the following statistical table are statistics on the money supply and national bonds that greatly affect the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shown by the Moon Jae-in and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The reason why the increase in the monthly average national bonds is similar is because both governments had insufficient tax revenue increases, so an increase in national bonds was inevitable to solve this.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the monthly average money supply was 20,509.2 (1 billion)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hich was about 1.5 times that of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13,905.4 (1 billion). The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under the two administrations, although different, has led to an increase in prices, which has made the people’s actual lives poorer, which is the current economic phenomenon. The relative decrease in the money supply growth rate after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compared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can be seen as the main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Bank of Korea’s base interest rate. This explosive increase in money supply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prices of assets such as real estate and stock prices, which provided great benefits to those who held these assets, but in contrast, actual economic entities that did not hold the assets became relatively poorer, resulting in the Cantillon economic effect where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Unfortunately, regardless of which political party was in power, the government did not implement any policies to prevent this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To avoid the polarization of wealth and economic problems caused by the current monetary system, wise economic entities are investing their earned funds in gold, silver, or virtual currencies including Bitcoin, and some economists agree that this is a wise economic decision.
On November 3, the media reported that the Bank of Korea lowered its lending interest rate from 3.5% to 3.25%, but commercial banks decided to raise interest rates regardless of the Bank of Korea’s decision, which i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economy. In a free market economy, interest rates are determined by consumers’ time preference, but the freedom of the market that is necessary for a sound economy has long since disappeared, which is today’s economic phenomenon.
Unfortunately, most economists do not accept the logic of the free market economy mentioned so far, and the result is a rapid increase in money supply without public opposition, which is deep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economic inefficiency. This is today’s reality. Therefore, despit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the rational efforts of businesspeople, the economy will continue to deteriorate and we cannot avoid a gloomy future. This is the economic reality we expect for the future. andrewkwlee@naver.com
*Author/Gilwon Lee, Ph.D. in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