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의 고향 고흥에서 처음 열리는 전시회, 그것도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이다.
작가가 기증한 주옥 같은 작품 93점을 포함한 미공개작들을 가지고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성대하게 열렸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러나 그것은 그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 외에도 유족들의 꿈이자 희망이었다.
유감스럽지만 그나마 작가의 고향 고흥에서 미공개 작품들을 포함하여 특별전이 열렸으니 천만 다행이다. 전시는 11일부터 12월31일까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리며, 입장 마감 시간은 오후 5시이다. 매주 월요일 휴관하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크든 작든 70여점이라는 작품을 모으는 일이 결코 쉽지 않았음은 불보듯이 뻔했다.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열린 전시는 천경자 작가의 차녀 수미타김이 전시 총감독이었다. 그래도 아름답고 따뜻했다. 함께 참석하지 못한 유족 분들이 있어 한없이 아쉽고 섭섭했지만 이런 탄생 100주년 전시가 있다고 전국에서 방문한 미술관계 인사들과 보도진들이 있어 선생님을 존경했던 나로서는 너무나 감사했다.
천경자(千鏡子) , 아니 본명 천옥자. 그는 1924년 전남 고흥 아름다운 시골마을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 주로 외할아버지 아래에서 천자문을 배웠으며, 부친은 의대를 기대했지만 그림에 특별한 소질을 보였다. 물론 배우를 원하기도 하여 무대에 섰지만 키가 커서 수문장만 하라고 해서 포기했다고 했다. 외할아버지가 읽어주는 소설에 슬픈 대목이 나오면 무릎을 베고 있다가도 엉엉 소리 내어 울 정도로 감수성 또한 유난히 남달랐던 소녀. 일곱 살 때 그녀는 집이 가난하여 소록도 나병원 간호부가 되어 동생들 공부를 돌봐주던 “순결한 눈망울, 뾰로통한 처녀 특유의 표정이 매혹적”인 “길례언니” 를 만났다.길례는 그녀의 회상 속에서 아름답고 생생하게 살아있는 영원한 처녀였다. 그리하여 그녀는 그의 그림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여인이 되었다.
이후 그녀는 광주로 유학하여 광주공립여자 고등학교(현 전남여고)를 졸업하고, 의대에 진학하라는 부친의 권고를 뿌리치고 꽃다운 17살, 1940년 일본의 동경여자 미술대학에 유학했다. 이미 거기에는 후에 운보 김기창의 부인인 우향 박래현이 먼저 유학 와 있었다. 이때부터 그는 “鏡子”라는 이름을 썼다. 그는 당시 인상주의 이후 입체파와 야수파가 화단을 풍미하던 일본화단에서 섬세하고 고운 채색화의 여성적인 일본화의 화풍에 더욱 매료당했다.
천경자의 예술을 기억하고 회상한다는 것은 내게 비장한 아픔과 어떤 한없는 부채 같은 슬픔을 같이한다. 1986년에서-1990년까지 나는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소재하는 현대백화점 미술관 관장으로 근무했다. 그런 인연으로 자주 미술관 앞 카페에서 종종 커피를 마시기도, 식사를 함께 하기도 했다. 뵐 때 마다 선생님은 언제나 너무나 당당하고 단호했던 웃음이 크신 예술가이셨다. 그러나 사실 선생님은 언제나 외로웠다. 그래서 종종 외로움도 기막힌 경지에 이를 때가 있다고 말을 건네셨다. 수많은 자전적인 에세이집을 내면서 아름다운 모습보다는 애틋하고 고독과 슬픔이 묻어나는 것을 훨씬 더 좋아한 숙명적인 여류 화가였다.
1990년 4월경 선생님이 나에게 전화를 걸어 한양아파트로 왔으면 했다.
그 날 저녁. 그리다만 그림이 널려진 아파트 작업실에서 나는 보았다. 어쩌면 영원히 있지 못 할 안타까운 순간들을. 가짜그림이라고 지목한 “미인도”란 포스터를 앞에 두고 분노하며 억울해 하던 그의 눈빛을 그리고 그것이 그에게 그런 슬픔과 비극의 씨앗을 그토록 오랫동안 안겨다 줄줄은 그 누구도 상상도 하지 못했다.
감정 협회의 규정대로 작가가 아니라고 거기다가 돌아가시기 이 작품은 위작이고 가짜라고 분명히 밝힌다고 공증내용으로 확인까지 했는데 이 문제를 처음 외부에 공개하게 된 나의 입장에서는 지울 수 없는 문신 같은 부채가 된 것이다.
불행 중 다행히도 이번 전시에는 미공개 작품도 있어 그 특별전의 가치와 의미가 깊다. 예를들면, 1969년 파리 시절 그린 누드 유화로 작가가 남긴 유화 5점 가운데 하나로 1970년 '귀국 전시회' 후 54년 만에 세상에 공개 된 것이다.
이번 특별전에는 특히 ▲탱고가 흐르는 황혼 ▲만선 ▲화혼 ▲굴비를 든 남자 ▲아이누 여인 ▲팬지 ▲길례언니 Ⅱ ▲정 ▲파리시절 누드 유화 등 채색화 29점, 드로잉 23점, 화선지에 먹 6점, 아카이브 102점 등 총 160점이 공개 전시 된다.
거기다가 천경자 화백이 쓴 에세이와 친필 편지, 사진 등 자료 100여 점과 미디어 아티스트로 유명한 이이남 작가가 천경자 작가의 작품을 재해석해 영상으로 만든 '미디어아트'도 볼만한 영상 작품이다.
또 하나 주목할만한 이 특별전의 행사 중 시각적 포인트는 테이블 세팅과 케이터링 이었다.
요리연구가 이수연 대표가 천경자 화백의 작품 중 “탱고가 흐르는 황혼”의 작품과 음식을 컬러로 맞추는 절묘한 감각을 보여주었다. 이 세팅에는 한국식문화 디자인협회 회원들이 함께 했는데 ,오픈닝과 블랙의 드레스 코드도 작품 분위기를 맞추어 미학적으로 세팅된 풍경에 모든 관람객들이 박수갈채를 보냈다.
*필자/김종근. 미술평론가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Visiting the 'Chun Kyung-ja 100th Anniversary Special Exhibition' in Goheung, Jeollanam-do!
- Art critic Kim Jong-geun
The first exhibition to be held in Goheung, Cheon Kyung-ja's hometown, and it's a special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her birth.
How great would it have been if the Seoul Museum of Art had held a grand exhibition featuring 93 gem-like works donated by the artist, as well as unpublished works? However, that was the dream and hope of not only those who loved and cared for her, but also her bereaved family.
It's unfortunate, but fortunately, a special exhibition including unpublished works was held in Goheung, the artist's hometown. The exhibition will be held from 10:00 a.m. to 6:00 p.m. every day from the 11th to December 31st, and the last admission time is 5:00 p.m. It is closed every Monday, and admission is free.
It was obvious that collecting 70 or so works, big or small, was by no means easy. The exhibition, which was held after numerous twists and turns, was directed by Cheon Kyung-ja's second daughter, Sumita Kim. Still, it was beautiful and warm. I was very sad and disappointed that there were family members who could not attend, but I was so grateful that there were art gallery people and report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visited the 100th anniversary exhibition, as someone who respected the teacher.
Cheon Kyung-ja (千鏡子), or rather, her real name Cheon Ok-ja. She spent her childhood in a beautiful rural village in Goheung, Jeollanam-do, in 1924. She mainly learned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from her maternal grandfather as a child, and her father expected her to go to medical school, but she showed a special talent for drawing. Of course, she wanted to be an actress, so she stood on the stage, but she said she was too tall to be a goalkeeper, so she gave up. She was a girl with exceptional sensitivity, so much so that when a sad part came up in a novel her maternal grandfather read her, she would lie on her knees and cry out loud. At the age of seven, she met “Sister Gil-rye” who had “pure eyes and a sharp, girlish expression that was captivating,” and who worked as a nurse at the Sorokdo Leprosy Hospital to help her younger siblings study because her family was poor. Gil-rye was a beautiful and vividly alive eternal girl in her memories. Thus, she became a symbolic woman who appears in his paintings.
After that, she went to Gwangju to study abroad and graduated from Gwangju Public Girls’ High School (now Jeonnam Girls’ High School). She rejected her father’s advice to go to medical school and went to study abroad at the Tokyo Women’s College of Fine Arts in Japan in 1940 at the young age of 17. Woo-hyang Park Rae-hyeon, who would later become the wife of Unbo Kim Ki-chang, had already come to study abroad there. From then on, she used the name “Gyeong-ja.” At that time, in the Japanese art world where Cubism and Fauvism were popular after Impressionism, he was even more fascinated by the delicate and delicately colored feminine Japanese painting style.
Remembering and recalling Cheon Kyung-ja’s art brings me a profound pain and a kind of endless debt-like sadness. From 1986 to 1990, I worked as the director of the Hyundai Department Store Art Gallery in Apgujeong-dong, Gangnam-gu, Seoul. Because of that connection, we often had coffee or meals together at the cafe in front of the museum. Whenever I met her, she was always a confident and resolute artist with a big smile. However, she was actually always lonely. So she often told me that her loneliness sometimes reached a breathtaking level. She was a fateful female artist who, while publishing numerous autobiographical essay collections, preferred the sorrowful, lonely, and sad to the beautiful.
Around April 1990, the teacher called me and asked me to come to Hanyang Apartment.
That evening, I saw her in the studio of the apartment where the paintings she had been drawing were strewn about. The regrettable moments that might never happen. No one could have imagined the look in his eyes as he looked at the poster of “Portrait of a Beauty” that he had pointed out as a fake painting and felt resentment, and that it would bring him such sadness and tragedy for so long.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Appraisal Association, he was not the artist, and he even confirmed through a notarization that this work was a forgery and a fake before he passed away, but from my perspective as the first person to reveal this issue to the public, it became an indelible debt like a tattoo.
Fortunately, there are also unreleased works in this exhibition, adding to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special exhibition. For example, this is a nude oil painting painted in Paris in 1969, one of the five oil paintings left by the artist, and it was only released to the public 54 years after the “Return Exhibition” in 1970. This special exhibition will feature 160 works in total, including 29 colored paintings, 23 drawings, 6 ink paintings on rice paper, and 102 archives, including ▲Tango Flowing Twilight ▲Full-scale ▲Hwahon ▲Man Holding a Gulp ▲Ainu Woman ▲Pansy ▲Gilrye Sister II ▲Jeong ▲Paris Period Nude Oil Painting, etc.
In addition, there are over 100 pieces of materials, such as essays, handwritten letters, and photographs written by artist Cheon Kyung-ja, as well as 'Media Art', a video created by Lee In-nam, a famous media artist, who reinterpreted Cheon Kyung-ja's works.
Another notable visual point of this special exhibition was the table setting and catering.
Culinary researcher Lee Su-yeon showed off her exquisite sense of matching food with the colors of Cheon Kyung-ja's work, "Tango Flowing Twilight." This setting was attended by members of the Korean Food Culture Design Association, and the opening and black dress codes matched the mood of the piece, and all the visitors applauded the aesthetically set scenery.
*Author/Kim Jong-geun, Art Cri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