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는 인도 사람의 가장 깊숙한 곳에 뿌리내리고 있다. 현재 인도총리인 모디는 힌두 국가 재건에 집중하고 있다. 전반적인 학교 교육의 방향도 힌두 우선주의 철학에 입각한 것 같다. 오죽 했으면 다윈의 진화론을 교과서에서 삭제할 시도까지 하지 않았나?
그러면서도 모디는 간혹 인도를 불교 국가라고 칭한다. 2024년 독립 기념일 행사(8.15)에서도 같은 말을 반복한다. 인도 땅에서 사실상 불교가 사라진지 오래됐는데, 왜 이런 레토릭을 하는 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불교의 평화 이미지를 세계에 내 세우고 싶어 했을 것으로 본다.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배 이전엔 무갈 제국의 치하였다. 무갈 제국은 이슬람 국가이다. 오늘 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일부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통치했다. 티무르 제국의 영광을 찾고자 하는 패권 국가이다. 무갈 제국은 16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통치 기간을 보유한다. 하지만 인도는 12세기경부터 무슬림이 지배하는 사회였음을 주목해야 한다.
인도가 무슬림 지배를 받기 전까지는 불교가 주요 이데올로기 중의 하나였다. 민중은 힌두교, 지배층은 불교를 존중하는 구조이다. 상호 공존했다는 표현이 더 맞을 지도 모른다. 최소한 12세기까지 불교는 인도 땅에서 학문적으로도 매우 발전하였다.
그 활동의 중심에는 날란다 대학이 있었다. 5세기에서 설립되어 12세기까지 활동했다. 석가모니 부처가 성도했던 보드가야에서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세계 역사상 최초의 기숙형 종합대학이다. 공부하는 학생이 1만여명이고, 교수진이 1,500여명 정도라고 하니, 그 규모를 짐작하고도 남는다. 영국의 BBC방송은 이를 “중세의 아이비 리그”로 평하기도 했다.
인도의 모든 식자층은 이곳에서 공부하고 토론한다. 중국한국일본은 물론 태국스리랑카 등 남방 국가, 페르시아그리스에서도 유학 왔다. 이들은 불교와 함께 철학물리학의학, 그리고 점성술 등 다양한 학문을 공부한다. 특히 수학은 여기서 비약적으로 발전한다. ’0’이라는 수학 개념이 최초로 연구되었는데, 이는 현대 컴퓨터 학의 기원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7세기경 중국 당나라 시대에 유명한 현장 스님이 있다. 그는 산스크리트 원전에 의거해 한문 불경의 의문점을 연구하기 위해 날란다 대학으로 유학 온다. 19년 동안 이곳에서 공부하면서 뚜렷한 업적을 쌓는다. 그는 중국으로 돌아갈 때 수많은 산스크리트 원전을 함께 가져가, 이를 한문으로 번역한다. 이것이 한국 불교의 근간이 된다.
또한 그는 인도 유학의 경험과 실제 삶의 모습을 매우 구체적으로 기술한, 그 유명한 ‘대당 서역기’를 저술한다. 이 책은 인도와 중앙 아시아의 역사 사료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현장 스님은 다양한 불교 유적지를 순례하고 그 내용을 책에 온전히 담아낸다. 놀라운 위업이다. 중국어와 언어 체계가 완전히 다른 산스크리트 원전을 완벽하게 번역을 하고 기행문을 쓴다는 것은 언어에 천부적 능력을 보유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날란다 대학은 12세기까지 불교는 물론 다양한 학문의 중심지였다. 혹자는 “인도의 학문이 중국에 흘러갔지만, 중국의 학문이 인도로 유입된 흔적은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입학도 매우 까다로웠다. 지원자의 20% 정도만 이 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이 허용될 정도로.
이후 역사의 불행 및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무슬림 세력이 인도 대륙을 접수하기 시작하면서 일부 튀르키예 출신들이 날란다 대학을 처절하게 파괴한다. 대학의 모든 저서를 불사른다. 새로운 분서갱유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불교가 인도 땅에서 완전 사라졌다는 것이 공통된 평가이다. 불교는 무슬림을 피해 티베트로 숨어들어가거나 힌두교로 전향했다.
이후 날란다 대학은 폐허 속에서 계속 잠들고 있다가 19세기 영국 식민지 시절에 살아나기 시작한다. ‘알렉산더 커닝엄’이라는 영국의 고고학자가 날란다 대학의 흔적을 찾아낸다. 그는 현장 스님의 저서 ‘대당 서역기’의 내용에 주목한다. 그 책에 기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발굴한다.
놀랍게도 책의 내용과 발굴된 유적이 거의 맞아 떨어진다. 하나의 세력이 기존의 문명을 완전 파괴했다고 하지만 그 흔적은 남기 마련이다. ‘커닝엄’은 전문 고고학자가 아닌 영국 정부가 인도에 파견한 공병대 장교였다. 그의 호기심과 집념이 숨어있던 유적을 찾아냈던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간직한 채, 날란다 대학으로 향하는 나는 온 몸 흥분이 가득하다. cowboy1616@naver.com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본지 인도 통신원. 칼럼니스트. 한국어 교원. 오랜 공직생활을 마치고 지금은 인도 뉴델리의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dian local report]] Nalanda University, described as the ‘Ivy League of the Middle Ages’ by the BBC
-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paper
Hinduism is deeply rooted in the hearts of Indians. The current Prime Minister of India, Modi, is focusing on rebuilding the Hindu nation. The overall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based on the philosophy of Hinduism first. It must have been so bad that he even tried to remove Darwin’s theory of evolution from textbooks.
However, Modi occasionally refers to India as a Buddhist nation. He repeated the same thing at the 2024 Independence Day event (August 15). It is questionable why he uses such rhetoric when Buddhism has virtually disappeared from India for a long time. I think he wanted to project the peaceful image of Buddhism to the world.
Before British colonial rule, India was under the Mughal Empire. The Mughal Empire was an Islamic nation. It ruled a vast area that includes present-day central India, Pakistan, and parts of Afghanistan. It was a hegemonic state that sought to reclaim the glory of the Timurid Empire. The Mughal Empire ruled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i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dia was a Muslim-dominated society from around the 12th century.
Before India came under Muslim rule, Buddhism was one of the main ideologies. The common people respected Hinduism, and the ruling class respected Buddhism. It might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they coexisted. At least until the 12th century, Buddhism was highly developed academically in India.
At the center of this activity was Nalanda University. It was founded in the 5th century and operated until the 12th century. It is located not far from Bodh Gaya, where the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It is the first residential comprehensive university in the history of the world. With about 10,000 students and about 1,500 faculty members, you can easily guess its scale. The BBC in England even called it the “Ivy League of the Middle Ages.” All the intellectuals of India study and discuss here. They come from China, Korea, Japan, southern countries such as Thailand, Sri Lanka, Persia, and Greece. They study Buddhism, philosophy, physics, medicine, and astrology, among other subjects. Mathematics in particular makes great strides here. The mathematical concept of ‘0’ was first studie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modern computer science.
There was a famous monk named Xuanzang during the Tang Dynasty in China around the 7th century. He came to Nalanda University to study the questions of Chinese Buddhist scriptures based on Sanskrit originals. He studied here for 19 years and made notable achievements. When he returned to China, he took numerous Sanskrit originals with him and translated them into Chinese characters. This became the foundation of Korean Buddhism.
He also wrote the famous ‘Great Tang Western Regions Chronicles’, which describes his experience studying in India and his actual life in great detail. This book is very valuable as a historical source for India and Central Asia. The monk Hyeonjang made a pilgrimage to various Buddhist sites and wrote a book about them. It was an amazing feat. It is impossible to believe that he had a natural talent for language when he perfectly translated the original Sanskrit text, which has a completely different linguistic system from Chinese, and wrote a travelogue.
Nalanda University was a center of Buddhism and various other academic disciplines until the 12th century. Some emphasize that “Indian academics flowed to China, but there is no trace of Chinese academics flowing into India.” Admission was also very difficult. Only about 20% of applicants were allowed to study at the university.
After that, the misfortune and irony of history occurred. As Muslim forces began to take over the Indian subcontinent, some Turkic people brutally destroyed Nalanda University. They burned all the university’s books. This was a new incident of book burning and burying.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Buddhism completely disappeared from India as a result of this incident. Buddhism fled to Tibet to escape Muslims or converted to Hinduism. After that, Nalanda University continued to sleep in ruins until it came back to life during the British colonial period in the 19th century. A British archaeologist named Alexander Cunningham discovered the traces of Nalanda University. He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Great Tang Western Regions’ written by Monk Xuanzang. He excavated the site based o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book.
Surprisingly,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the excavated remains almost exactly match. Even if a force completely destroyed the existing civilization, traces were bound to remain. Cunningham was not a professional archaeologist, but an officer in the engineering corps dispatched by the British government to India. His curiosity and obsession were what led him to discover the hidden remains.
With these historical facts in mind, I am filled with excitement as I head to Nalanda University. cowboy1616@naver.com
▲Author/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Author/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Columnist. Korean language teacher. After a long career in public service, he now teaches Korean at a school in New Delhi,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