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인도 현지르포]날란다 대학, 문명이 또 다른 문명을 파괴 '충격 현장!'

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l 기사입력 2025-01-02

본문듣기

가 -가 +

인도의 '날란다 대학'은 이번 여행의 최대 관심 지역이다. 한국에 있을 때부터 가보고 싶은 버킷 리스트의 하나였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 사람에겐 생소한 지역이고 특별한 의미가 다가오지 않는 곳일 수도 있다.

 

간단히 표현하면 날란다 대학은 인도 중세시대에 있어 문명의 최고 중심이었다. 5세기에서 12세기에 이르기까지. 세계 최초의 기숙형 대학이다. 여기서 공부하는 학생이 많을 때는 1만여명, 교수진은 1,500여명이었다. 영국의 옥스포드 대학 보다 5백년이 앞선다.

 

▲ 날란다 대학     ©브레이크뉴스

▲ 날란다 대학     ©브레이크뉴스

 

날란다 대학의 유적지는 비하르 주의 라즈기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 라즈기르는 고대 인도 마가다 왕국의 수도였다. 석가모니 부처가 생애 처음 설립한 불교 사찰인 죽림정사가 라즈기르에 위치해 있다. 그 당시에는 왕사성으로 불린 곳이다. 

 

BC 4세기경 인도를 최초로 통일한 마우리아 왕조가 수도를 라즈기르에서 파틀리 푸트라 (지금의 파트나)로 이전했지만, 라즈기르는 이후 굽타왕조나 팔라왕조에 이르기까지 학문의 중심지로서 변함이 없었다. 이는 인도 왕조가 여러 번 바뀜에도 날란다 대학에 대한 지원은 어김없이 행해졌고, 각지의 인재들이 이곳으로 몰려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날란다 대학의 쇠퇴는 이슬람 문명의 인도 침투와 함께 한다. 중앙 아시아 튀르키예 계통의 무슬림 세력은 인도의 문명을 철저히 파괴한다. 그 당시 날란다 대학의 도서관은 9층이었고 900만권의 장서가 있었다고 한다. 침략자들은 불을 질러 대학을 완전히 파괴했는데, 그 불이 3달이나 계속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사람이 살 수 없는 폐허로 만들어 버린다.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 간다. 수백 년이 흐르면서 구전만 일부 내려오고, 이곳에서 연구되었던 다양한 학문의 흔적은 통째로 사라진다.

 

19세기, 20세기 인도를 통치했던 영국은 고고학자들을 동원해 날란다 대학의 흔적을 찾아낸다. 그들은 중국 당나라 시대 고승이었던 현장 스님의 저술 내용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를 바탕으로 날란다 대학 유적지의 발굴을 검토했고 치밀하게 조사를 했다. 영국 정부는 1916년부터 단계적으로 현장 발굴에 나선 것으로 기록에 나와 있다. 땅 속에 숨었던 과거 날란다 대학의 위용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슬람 문명이 불교 문명, 아니 인도 문명을 철저히 파괴했는데, 영국 제국주의 문명이 이를 발굴한 것이다. 발굴은 1930년대까지 계속된다. 그 당시 발굴현장 사진을 보면 감회가 새롭다. 잠자고 있던 유적이 다시 햇빛을 본 것이다. 아쉽게도 더 이상 발굴이 진행되지 못한다. 세계대전이라는 상황에서 영국의 국력도 서서히 감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날란다 대학 유적지의 현장을 직접 가보면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기숙형 대학에 맞게 모든 방의 구조가 1인실 형태다. 강의실과 강당이 곳곳에 자리 잡고 사찰도 있다. 음식을 하는 대형 식당도 당시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놀라운 사실에 대한 얘기를 듣는다.

 

지금 발굴된 날란다 대학의 유적지는 전체의 1/10에 불과하다고 한다. 현재까지 발굴된 유적지는 23만 제곱미터에 달하지만 이는 원래 대학 교정 중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나를 안내하는 사람은 직경 10km, 5km에 달하는 장방형의 거대 대학 도시였다고 설명한다.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1970년대 발굴을 재개하지만 더 이상의 진행은 어려웠다.  유적지의 조금 높은 위치에 올라가 사방을 둘러보면 사람들이 이미 주거하고 있다. 폐허가 된 지역에 훗날 그냥 사람들이 살아왔었고, 일부는 풍화작용에 의해 유적지들이 땅에 들어간 것 같다. 완전한 발굴을 하기에는 예산이 부족하고 현실 장애요인이 너무 크다.

 

날란다 대학의 융성에는 당시 인도 왕실의 든든한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인도의 왕실은 대부분 힌두교 신자들이다. 그들은 종교로서 불교를 믿지 않았지만, 학문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엄청난 지원을 했다. 그래서 날란다 대학에서는 불교를 중심으로 철학, 수학, 천문학까지 학문의 모든 부분을 망라해서 교육이 이뤄진 것이다. 

 

인도를 깊이 연구한 사람들은 이런 표현을 한다. 인도의 문명이 중국을 거쳐 동아시아로 흘러 갔다. 반대로 중국의 문명이 인도로 유입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최소 12세기 말 인도 문명이 이민족에 의해 파괴되기 전까지는 분명한 사실이다. 아이러니한 역사다.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날란다대학 옛터에서. ©브레이크뉴스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인도의 오랜 기간에 걸친 침체의 역사는 날란다 대학이 완전 파괴된 12세기, 13세기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문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사라진 암흑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서구 유럽은 14세기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면서 중세 암흑을 벗어나기 시작했는데, 인도는 이때부터 암흑기에 들어가는 모양새이다. 

 

나는 날란다 대학의 유적지를 돌고 또 돈다. 아직 이 대학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모든 것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과거의 번성했던 그 분위기만이라도 느끼고 싶었다. 예상보다 긴 시간을 보냈다. 마음 한 구석에는 찜찜한 느낌이 가시지 않는다. 어떤 문명이 또 따른 문명을 파괴하는 야만적 행태. 그러나 언젠가는 다시 역사의 진실이 어둠을 밝혀주고 있다.  cowboy1616@naver.com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본지 인도 통신원. 칼럼니스트. 한국어 교원. 오랜 공직생활을 마치고 지금은 인도 뉴델리의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dian local report] Nalanda University, civilization destroys another civilization 'Shocking scene!'

The highest center of civilization in the Indian Middle Ages, with 10,000 students at most

-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India's 'Nalanda University' is the place of greatest interest during this trip. It was one of the bucket list places I wanted to visit since I was in Korea. It i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However, it may be an unfamiliar place to the general public and may not have any special meaning.

To put it simply, Nalanda University was the highest center of civilization during the Indian Middle Ages. From the 5th century to the 12th century. It was the world's first boarding university. At its peak, there were 10,000 students studying here, and 1,500 professors. It is 500 years ahead of Oxford University in England.

The ruins of Nalanda University are located not far from Rajgir in Bihar. Rajgir was the capital of the ancient Indian kingdom of Magadha. The Jukrimjeongsa, the first Buddhist temple established by the Buddha, is located in Rajgir. At that time, it was called Rajgir Castle.

Around the 4th century BC, the Mauryan Dynasty, which first unified India, moved its capital from Rajgir to Patliputra (now Patna), but Rajgir remained a center of learning until the Gupta Dynasty and the Pala Dynasty.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 Indian dynasties changed several times, support for Nalanda University was provided without fail, and talented people from all over flocked to this place.

The decline of Nalanda University coincided with the infiltration of Islamic civilization into India. The Muslim forces of Central Asian Turkic descent completely destroyed Indian civilization. At that time, the library of Nalanda University was said to have had nine floors and nine million books. The invaders completely destroyed the university by setting it on fire, and it is said that the fire lasted for three months. It turned it into a ruin where no one could live. It has since disappeared from people's memories. As hundreds of years passed, only some oral traditions were passed down, and the traces of various disciplines studied here disappeared entirel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Britain, which ruled India, mobilized archaeologists to find traces of Nalanda University. They were interested in the writings of Monk Xuanzang, a great monk from the Tang Dynasty in China. Based on this, they reviewed the excavation of the Nalanda University ruins and conducted a thorough investigation. It is recorded that the British government began excavating the site in stages starting in 1916. The grandeur of Nalanda University, which had been hidden underground, began to appear.

Islamic civilization thoroughly destroyed Buddhist civilization, or rather Indian civilization, but British imperialism unearthed it. Excavations continued until the 1930s. Looking at the photos of the excavation site at that time, it is a new feeling. The dormant relics saw the light of day again. Unfortunately, excavations were no longer possible. This was because Britain’s national power was gradually declining due to the situation of World War II.

If you visit the site of Nalanda University ruins in person, your mouth will be left speechless. All rooms are single rooms, as is typical of a boarding school. Lecture rooms and auditoriums are located throughout the building, and there is also a temple. The large dining hall where food is served also retains its original appearance. However, I hear about an even more surprising fact.

It is said that the ruins of Nalanda University that have been excavated so far are only 1/10 of the entire site. The ruins that have been excavated so far amount to 230,000 square meters, but it is estimated that this was originally part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person guiding me explains that it was a huge rectangular university city measuring 10 km in diameter and 5 km in area. When India gained independence from Britain and excavations resumed in the 1970s, further progress was difficult. If you climb up to a slightly higher place on the ruins and look around, you can see that people are already living there. It seems that people used to live in the ruined areas, and some of the ruins have been buried in the ground due to weathering. The budget is insufficient for a complete excavation, and there are too many obstacles in reality.

The prosperity of Nalanda University was due to the strong support of the Indian royal family at the time. Most of the Indian royal family at the time were Hindus. They did not believe in Buddhism as a religion, but they provided tremendous support in terms of academic development. That is why Nalanda University provided education that covered all aspects of academics, from philosophy to mathematics and astronomy, with Buddhism at the center.

People who have studied India in depth use this expression. Indian civilization flowed through China to East Asia. Conversely, there is no trace of Chinese civilization flowing into India. This is a clear fact until at least the end of the 12th century, when Indian civilization was destroyed by foreigners. It is an ironic history.

There are no assumptions in history, bu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ndia’s long history of stagnation began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when Nalanda University was completely destroyed. It was a dark period when academic autonomy and diversity disappeared. Western Europe began to emerge from the Middle Ages with the advent of the Renaissance in the 14th century, but India seems to have entered the Dark Ages from this time.

I keep visiting the historic sites of Nalanda University. Even though I do not ye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this university to understand everything, I wanted to feel at least the atmosphere of its past prosperity. It took longer than expected. There is a lingering feeling in my heart. The barbaric behavior of one civilization destroying another. However, the truth of history will eventually illuminate the darkness. cowboy1616@naver.com

▲Author/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paper.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paper. Columnist. Korean language teacher. After a long career in public service, he now teaches Korean at a school in New Delhi, India.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naver band URL복사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