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34.4%...공수처가 보수층 결집 돕는다!

강도원 칼럼니스트 l 기사입력 2025-01-04

본문듣기

가 -가 +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2차 변론준비기일을 앞둔 지난 1월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 지지자들이 보내온 탄핵 반대 화환이 놓여 있다. 2025.01.03.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계엄사태 직후 17.5%에서 3일 발표된 조사에선 34.4%로 두배나 껑충 뛰었다. 전국이 고르게 올랐고 특히 호남권에서도 24.6% 지지율이 나왔다. 여론조사공정 외 다른 기관의 조사에서도 비슷한 추세로 나오고 있다.

 

이는 지지율 흐름이 8년 전 탄핵정국과는 다르게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로 여론조사 전문가들도 이견은 없다는 평가다.

 

이런 상승세의 원인은 대행의 대행으로 이어진 야당의 탄핵 횡포와 현직대통령 체포까지 막 나가는 공수처 수사의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보수층의 결집이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내란죄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가 굳이 서울중앙지법이 아닌 서부지법에 체포영장을 청구하는 판사쇼핑을 했다는 점, 진보성향 판사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진 서부지법의 담당판사가 형사소송법 제110조·111조 적용을 예외로 하는 결정으로 체포 및 수색영장을 발부한 점 등에 대해 여당이 "견고한 좌파 사법 카르텔이 작용했다"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여기에 자극 받은 지지자들이 볼 때 윤대통령의 탄핵, 수사, 체포 등 이 일련의 사태가 적법을 가장한 정권탈취를 노린 좌파세력의 음모로 점차 인식하기 시작한 것 같다. 더불어민주당이 헌재에 탄핵사유에서 내란죄 철회를 요청한 것도 보수층의 이런 의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앞으로 공수처의 수사 과정이나 헌재의 심판과정에서 이재명 재판에 견주어 조금이라도 형평성. 공정성에 논란거리가 생기면 여론의 흐름은 지금의 정반대로 얼마든지 뒤집어질 수도 있음을 이번 여론조사가 말해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필자/ 강도원 칼럼니스트.  ©브레이크뉴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resident Yoon Seok-yeol's approval rating at 34.4%...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Helps Conservatives Unite!

- Columnist Kang Do-won

 

President Yoon Seok-yeol's approval rating jumped from 17.5% immediately after martial law to 34.4% in a survey released on the 3rd, doubling. The increase was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and in particular, the Honam region recorded a 24.6% approval rating. Similar trends are also being observed in surveys conducted by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Public Opinion Poll Fair.

This is a figure that shows that the approval rating trend is unfolding differently from the impeachment situation eight years ago, and even public opinion poll experts agree that there is no disagreement.

The reason for this upward trend is believed to be the opposition party's impeachment tyranny that led to the acting president's impeachment, and the fact that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investigation, which is currently underway and leading to the arrest of the incumbent president, is raising questions about the fairness of the investigation, leading to the unification of conservatives.

The ruling party strongly objected to the fact that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which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investigate sedition, went through judge shopping by requesting an arrest warrant at the Western District Court instead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and that the judge in charge of the Western District Court, known to have been active in the Our Law Research Association, a progressive judges' group, issued an arrest and search warrant by making a decision that exempted the application of Articles 110 and 11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ruling party strongly objected, saying that "a solid leftist judicial cartel was at work."

It seems that supporters who were stimulated by this are gradually beginning to perceive the series of events, including the impeachment, investigation, and arrest of President Yoon, as a conspiracy by leftist forces aimed at seizing power under the guise of lawfulnes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s reques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o withdraw the sedition charge from the impeachment grounds is also amplifying these suspicions among conservative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at least some fairness in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s investigation process or the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process compared to the Lee Jae-myung trial. This poll shows that if there is controversy over fairness, the flow of public opinion can easily turn around to the opposite of what it is now.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naver band URL복사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