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신간 소개]한총련 정책위원장 출신 김광수 박사 “더 통일” 출간

박정대 기자 l 기사입력 2025-01-10

본문듣기

가 -가 +

▲ 김광수 박사(정치학)     ©브레이크뉴스

김광수 박사(정치학)가 다시 쓰는 통일교본 더 통일"이라는 제목의 저서를 출간(선인출판사) 했다.

 

저자는 이 책의 소개말에서 윤석열 정권이 왜 국가보안법을 남발했는지가 명확해졌다. 윤석열의 친위쿠데타로 인해 발생한 12·3 ·외란이 그 결정적 증거인데, 이는 국가보안법이 12·3 ·외란을 일으키기 위한 사전 정지 작업으로 활용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전제하고 작가 자신도 이 피해자다. 지금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불구속 기소((202412월 현재까지)상태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작가는 자신을 직접적으로옥죄고 있는 국가보안법의 굴레에도 불구하고 정말 절박한 마음으로 이 책을 출판했다. 왜냐하면 통일과 관련해 기존 패러다임을 완전 180° 전환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중심에 우리 민족의 관계가 동족관계가 아닌 '적대' 관계로 전환된, 또 북의 영토완정 전략이 수립된 그 환경의 변화가 진정 앞으로는 통일을 말할 수 없는가?”라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결론은 그러한 질문은 틀렸고, 그러한 환경의 변화가 오히려 통일을 얘기해야 한다'이다. 그래서 책 제목도 <더 통일>이다. 그리고 작가는 제목 설명을 이렇게 하고 있다. '정관사 the와 같은 그럴수록의 뜻과 함께 add 개념도 있다. 변화된 통일환경 핑계 대지 말고, 그 어떤 통일도 부정의의 평화보다는 낫다는 인식을 확립해 평화를 원하거든 통일을 준비하라와 같은 정언명령에 충실하여 통일이 곧 평화다!’라는 명제를 꼭 성립시키자.”고 강조했다.

 

이어 이 책은 2가지 중요한 사실을 안내한다. 첫째는, 통일환경의 변화에도 통일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 둘째는, 통일의 재구성을 어떻게 이뤄내야 할 것인가? 인데, 관련해 작가는 다음과 같은 내용 구성을 내온다. ‘통일의 당위성’, ‘변혁과 통일의 상관관계, ‘통일방법론을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출판 의도와 특징'에 대해서는 꼭 통일은 필요한가?라는 설문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대체로 '그렇지 않다'라고 답변하는 사례가 점차 절반 이상으로 올라가고 있음을 목격한다. 특히 젊은 세대의 경우 그 답이 더욱 비약 상승하고 있다. 분단 70여 년의 지속이 통일 피로증을 낳고, 북의 영토완정 전략은 급기야 임종석(문재인 정권 당시 비서실장) 같은 인물도 등장시킨다. ‘이제 통일은 필요 없어라며 공개적인 커밍아웃 한다. 점점 통일이 그렇게 멀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 정반대의 주장을 담는다. ‘이럴 때 일수록 더 통일을 얘기해야 한다라고. ‘이럴 때 일수록 더 북 바로알기를 해야 한다라고. 즉 통일 환경변화를 핑계로 누구도 생각하지 않는통일을 생각하는통일로 만들고 싶었고, 결과 자주통일운동을 성찰적으로 잘 고찰, 그 총화의 결과가 패배주의와 청산주의를 넘어 새로운 시대적 높이, 완전히 새롭게 전환된 북의 대남·통일인식과 남북관계 대전환을 잘 분석해 내고자 했다면서 “‘이제 통일은 필요 없어가 아니라 앞으로의모든 통일운동은 주체적 관점에서의 주체역량 강화와 자주를 중심에 놓는 통일운동 재구성, 또한 통일, 통일은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 수 없이 설명되는 당위와 그와 비례해 또 수없이 증명되는 실체적 의미에서의 통일 필요성, 즉 통일을 반드시 이뤄내야만 하는 우리 민족의 숙명이자 우리 민족이 살아남기 위한 현실적 문제임을 함께 공유하고자 했다고 소개했다.

 

저자가 밝힌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이 곧 평화라는 담론과 평화를 원하거든 통일을 준비하라라는 통일의 선결성,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반도에서 다시는 한국전쟁과 같은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이 당위이자 우리 민족의 합의이다. 평화담론의 중요성이다. 하지만 이 평화 개념을 정치적으로 악용해 ()만의 비핵화라든지, “분단 고착화에 기반한 평화도 가능하다는 담론체계로 작동되는 순간, 평화()통일, ‘평화운동()통일운동이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땅 한반도에서 분단 고착화를 가장 바라고, 우리 민족의 통일을 가장 반대하는 주 세력이 미 제국이기에 반미자주투쟁없는 평화운동은 있을 수 없다. 해서 평화운동은 반드시 반미자주투쟁과 결합해야만 하고, 만약 반미자주없는 평화운동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이미 평화운동이 아니라는 말과도 같다.

 

둘째, 이 책은 또한 북이 왜 한반도 영토완정 전략을 내왔는지, 그러한 변화된 환경하에서 어떤통일운동을 해야 하는지 명쾌한 해답을 준다.

 

북의 전쟁결심은 미 제국대한민국 것들이 정세를 오판하여 전쟁을 도발하지 말라는 최강의 높이에서 한 경고인데, 그런데도 이 경고를 못 알아듣고 기어이 전쟁이 자신들-제국과 윤석열 정권(혹은, 그 이후의 정권)의 이해와 요구에 의해 발발한다면(12·3 ·외란이 그 증거이다. 해서 앞으로 이런 일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북도 물러서지 않고 전면적 대응을 통해 자신들의 남반부에 해당하는 대한민국을 영토완정으로 분단을 종결하겠다는 그런 의미로서 자신들의 한반도 영토완정 전략을 수립했고, 동시에 북은 우리 민족 공동의 적이 미 제국이라는 사실, 그러하기에 전 민족적 차원에서 반미자주투쟁을 함께 진행해 나가길 우리 남쪽 대한민국에 제안하고 있다. 해서 이 책은 북의 그러한 의도와 자신들의 한반도 평정전략이 전쟁을 하겠다는 의미의 전쟁관이 아닌 통일을 이뤄내겠다라는 의미의 통일관으로 해석한다.

 

셋째, 이 책은 변혁과 통일의 관점에서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과 통일의 완성이 갖는 상관관계도 자세히 기술하였다.

 

이 땅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을 유일하고도 현실적인 경우는 남쪽 대한민국에 민중이 주인되는 세상으로서 자주정권(혹은, 자주적 민주정부)이 수립되어 연방·연합방식의 통일을 지향할 때다. 그런데 문제는 민주당의 통일정책도 결국에는 ‘1민족 2국가론에 근거하고 있어 ‘1민족 1국가론에 근거한 자주통일운동은 자주정권 수립의 관점에서 통일운동을 전개해야 하는 당위와 이론적 정당성이 있음을 이 책은 아주 명쾌하게 해설한다.

 

넷째, 끝으로 이 책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윤석열 정권의 친위쿠데타에 대한 분석과, 그 이후 전개될 자주통일운동을 담아낸다.

 

12·3 ·외란을 범한 윤석열 대통령은 반드시 파면되고, 구속되어야 한다. 그래서 민주당은 내란공범이자 동조자들인 한덕수 국무총리(대통령 권한대행)와 국민의 힘과 손을 잡아 국정을 수습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을 처단하고, 퇴진광장을 열었던(지금도 열고 있는) 시민사회-윤퇴진비상국민행동과 제 정당들과 함께 손잡아 사회 대개혁을 이뤄내야 한다. 그래서 멈춰선 제7공화국을 열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민주당과 이재명은 그렇게 하지 못하고, 되려 퇴진시계를 거꾸로돌리려 한다. 자신들의 권력욕을 위해. 이에 이 책은 왜 미국이 서둘려 윤을 버리고 빠른선거 국면으로 전환, 반미항전으로 진화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를 정확히 읽고, 퇴진광장을 지속, 대중적 반미투쟁으로 이번에는 반드시 미국의 벽을 넘어서자고 호소한다.“

 

▲ 김광수     ©브레이크뉴스

 

이 책의 저자 김광수 박사 소개

 

1966년생으로 정치학 박사, 북의 정치와 사상 전공 현재 ()부산평화통일센터 하나 이사장으로 활동 인제대 통일학부 겸임교수와 부산가톨릭대 및 외래교수 역임. , 부경대 교양학부 강의를 맡으며 강연 및 강좌의 경우는 요청 시 아주 작은 규모라도 응해 전국 곳곳을 돌아다니고 있다.

 

주요 저서: 전략국가, 조선(2023), 통일로 평화를 노래하라(2021), 수령국가(2015), 사상강국: 북한의 선군사상(2012), 세습은 없다: 주체의 후계자론과의 대화(2008)가 있다.

 

주요 활동: 전 한총련(2, 1994) 정책위원장 / 전 민주주의민족통일부산연합 정책국장 / 전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겸 민주공원 관장 / 전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운영위원장 / 전 하얄리아부대 되찾기 범시민운동본부 공동운영위원장 / 전 민생민주부산시민행동 건설 주도(제안자), 상임집행위원 겸 대변인 / 6·15부산본부 정책위원장·공동집행위원장·공동대표 / 전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 현 사)청춘멘토 자문위원 / 현 사)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 자문위원 외 다수.

한총련 정책위원장 역임 이후 필자는 정치권에 몸담지 않은 이유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다른 말로는 평생을 사회 활동가이자 통일 운동가로 살아갈 것을 결심했다는 것이고, 2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첫째는, 1994년 한총련(2) 정책위원장 임기가 마칠 때쯤 당시 한총련 사무실이 있었던 한양대에 DJ 장남 김홍일이 직접 찾아야 정치를 같이 하자면 정계 입문을 제안했다.(당시 한총련 정책위원회 출신들은 국회의원들의 보좌관이나 정계 입문을 많이 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 김광수의 선택은 달랐다. 단칼에 거절이었다. “한총련 정책위원장의 자리가 개인 입신양명하는 자리가 아니다. ‘좋든 싫든나로 인해 학생운동, 또는 진보 운동에 매진하고 있는 수많은 후배, 선배들이 지켜보고 있는데 어찌 진보적 사회 운동에 투신하지는 못할망정 정계에 입문하겠느냐?”며 거절했다. 둘째는, 전해오는 유명한 일화이다. 작고한 진보의 영원한 벗김근태 의장으로부터도 정계 입문 제안을 똑같이 받는다. 그때 나눈 대화를 필자는 이렇게 밝히고 있다. “이제 우리 운동이 데모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김 위원장도 임기가 끝나면 진로를 선택해야 하니, 나와 함께 통일시대국민회의라는 운동권 중심의 정치집단을 만들어 민주당에 입성하자. 그리하여 민주당을 우리가 장악, 새로운 진지, 근거지로 만들어 나가자라면서 이런 비유도 들었다. “우리가 진보 운동의 전선 조직에서 민주당으로 새 둥지를 트는 것은 마치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한 것과 같은 것이니 반드시 함께 하자.” 이에 필자는 다음과 같은 답변을 했다고 한다. “선배님의 선택에 이해는 하나, ‘동의하기는 어렵습니다. 선배님은 선배님의 길이 있고, 저는 저의 길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의 길은 이제껏 함께 한 수많은 동지들을 배반하지 않는 것이고, 그래서 저는 저의 운동적 고향 부산 내려가서 노동운동이나 전선 운동에 몸담겠습니다.” 필자는 그 약속을 지켰다. 1995년 민주주의민족통일부산연합에서 상근 활동을 시작으로 지금까지도 자신의 신념대로 통일운동을 열심히 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r. Kim Gwang-soo, former chairman of the policy committee of the Korean Federation of University Student Associations, publishes “Rewriting the Unification Textbook: More Unification”

- Reporter Park Jeong-dae

 

Dr. Kim Gwang-soo has published a book titled “Rewriting the Unification Textbook: More Unification” (Seonin Publishing).

In the introduction to this book, the author states, “It has become clear why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abused the National Security Act. The December 3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that occurred due to Yoon Seok-yeol’s coup d’état are decisive evidence, which means that the National Security Act was used as a preemptive measure to cause the December 3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He also states, “The author himself is a victim of this. He is currently under indictment without detention for violating the National Security Act (as of December 2024). Despite this, the author published this book with a truly desperate heart despite the shackles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that are ‘directly’ squeezing him. This is because a situation has arisen in which the existing paradigm regarding unification must be completely turned 180°. At the center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people.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triots” has changed to “hostility,” and where the North’s territorial integrity strategy has been established, has truly led to the question, “Can we no longer talk about unification?” The conclusion is that such a question is wrong, and such a change in the environment should rather talk about “more” unification. That is why the title of the book is “More Unification.” And the author explains the title as follows. “It has the meaning of “the more so” like the definite article the, as well as the concept of add. Rather than making excuses about the changed unification environment, let’s establish the recognition that any unification is better than an unjust peace, and let’s be faithful to the categorical imperative, such as “If you want peace, prepare for unification,” and definitely establish the proposition, “Unification is peace!” He continued, “This book guides us to two important facts. First, unification is still valid despite the change i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Second, how should we reconstruct unification? In relation to this, the author presents the following content structure: “The legitimacy of unification,” “Transformation and unification.” He explained, “It contains correlation and ‘unification methodology.’”

 

He continued, regarding the ‘publication intention and characteristics,’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a survey asking, ‘Is unification really necessary?’, you can see that the number of cases answering ‘no’ is gradually increasing to more than half. In particular, the younger generation is seeing an even greater increase in that answer. The continuation of the division for over 70 years has led to ‘unification fatigue,’ and the North’s territorial integrity strategy has even brought about the emergence of people like Im Jong-seok (Chief of Staff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e publicly comes out, saying, ‘Unification is no longer necessary.’ Unifi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distant. However, this book contains the exact opposite argument. ‘We need to talk about unification even more at times like this.’ ‘We need to know North Korea even more at times like this.’ In other words, under the pretext of changing the environment for unification, I wanted to make unification, which no one ‘thinks about’, into unification that is ‘thought about’, and as a result, I wanted to reflectively examine the independent unification movement, analyze the results of its summary beyond defeatism and liquidationism, a completely new era, and a completely new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South and unification, and a major transform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he said. “It’s not ‘unification is no longer necessary,’ but all unification movements ‘from now on’ should be about strengthening the subject’s capacity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and reconstructing the unification movement with ‘independence’ at the center, and also about unification, unification is not a matter of whether or not it can be done, but rather about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in terms of the inevitability that has been explained countless times and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in terms of the substantial meaning that has been proven countless times, that is, unification is the destiny of our people who must achieve it and a realistic problem for our people to surviv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revealed by the author are as follows:

 

“First, we emphasize the discourse that ‘unification is peace’ and the prerequisite and importance of unification that ‘if you want peace, prepare for unifica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and a consensus of our people that a war like the Korean War should never happen again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the importance of peace discourse. However, the moment this concept of peace is politically exploited and operates as a discourse system such as “denuclearization of the North alone” or “peace based on the solidification of division is also possible,” that ‘peace’ becomes ‘anti-unification’ and the ‘peace movement’ becomes ‘anti-unification’. This is because the main force that most desires the solidification of division on this Korean Peninsula and most opposes the unification of our people is the US “empire,” so there can be no peace movement without the anti-American ‘independence’ struggle. Therefore, the peace movement must be combined with the anti-American ‘independence’ struggle, and if there is a peace movement without anti-American ‘independence,’ it is no longer a peace movement.

 

Second, this book also provides a clear answer to why the North came up with the strategy of territorial integ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what kind of unification movement should be carried out under such a changed environment.

 

The North’s determination to go to war is a warning from the highest level that the US “empire” and “things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not misjudge the situation and provoke war. However, if they fail to heed this warning and war breaks out according to the interests and demands of themselves, the US “empire” and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or, subsequent administrations) (the December 3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are evidence of this. Therefore, such a thing can happen at any time in the future), the North will not back down and will respond comprehensively to end the division by territorial integ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corresponds to their “southern half.” In this sense, they established their strategy of territorial integ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the North is proposing to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outh that the common enemy of our people is the US “empire,” and that we should carry out an anti-American “independence” struggle together on a national level. Therefore, this book interprets the North’s intentions and their strategy for pacifying the Korean Peninsula as a view of unification that means ‘to achieve unification’ rather than a view of war that means ‘to wage war.’

 

Third, this book also describes in detai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democratic government and the completion of 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on and unification.’

 

The only realistic case in which war will not occur on this Korean Peninsula is when an independent government (or, an independent democratic government) is esta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outh as a world where the people are the masters and unification is pursued through a federal or confederation method.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Democratic Party’s unification policy is ultimately based on the ‘one nation, two states theory,’ and this book very clearly explains that the independent unification movement based on the ‘one nation, one state theory’ must develop the unification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government and has the theoretical legitimacy.

 

Fourth, finally, this book includes an analysis of the ‘coup d’état’ of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that was completely unexpected, and the independent unification movement that will unfold thereafter.

 

President Yoon Seok-yeol, who committed the 12/3 internal and external rebellion, must be impeached and arrested. Therefore, the Democratic Party should not join hands with Prime Minister Han Duck-soo (acting president), who is an accomplice and sympathizer of the internal rebellion, and the People Power Party to take control of state affairs, but rather punish them and join hands with civil society, the Yoon Resignation Emergency National Action, which opened (and is still opening) a resignation plaza, and other political parties to achieve a major social reform. That is why the 7th Republic, which has stalled, must be opened. However, the Democratic Party and Lee Jae-myung are unable to do so, and instead are trying to turn back the resignation clock. For their own lust for power. This book accurately reads the intention of the United States to prevent the United States from hastily abandoning Yoon and changing to a ‘quick’ election phase and evolving into an anti-American resistance war, and appeals to continue the resignation plaza and overcome the wall of the United States this time with a popular anti-American struggle. “

 

Introduction to the author of this book, Dr. Gwang-su Kim

 

Born in 1966, holds a Ph.D. in political science, specializing in North Korean politics and ideology. Currently serves as the chairman of the Busan Peace and Unification Center Hana. Former adjunct professor at Inje University’s Department of Unification and visiting professor at Busan Catholic University. Currently teaches at Pukyung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ravels around the country to give lectures and classes, even if they are very small, upon request. Major publications: Strategic State, Joseon(2023), Sing Peace through Unification(2021), Leader State(2015), Ideological Power: North Korea’s Military-First Ideology(2012), There is No Hereditary Succession: Dialogue with the Theory of Juche’s Successor(2008). Main activities: Former Policy Committee Chairperson of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2nd term, 1994) / Former Policy Director of the Busan Federation for Democracy and National Unification / Former Standing Director of the Busan Democratic Struggle Memorial Association and Director of the Democracy Park / Former Steering Committee Chairperson of the Busan Citizens’ Movement Solidarity / Former Co-Steering Committee Chairperson of the Pan-Citizens’ Movement Headquarters to Reclaim the Hialeah Unit / Former Leading Committee Member (Propose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san Citizens’ Movement for Democracy and Livelihood, Standing Executive Committee Member and Spokesperson / Former Policy Committee Chairperson, Co-Executive Committee Chairperson, Co-Representative of the Busan Headquarters of the June 15th Movement / Former Unification Education Committee Member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 Current Advisory Committee Member of the Youth Mentor Association / Current Advisory Committee Member of the Cooperation for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ny others. After serving as the Policy Committee Chairperson of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author explains the reason why he did not enter politics as follows. In other words, he decided to spend his life as a social activist and unification activist, and he gives two reasons. First, when his term as the policy committee chairman of the 2nd Hanchongryun ended in 1994, DJ’s eldest son Kim Hong-il personally visited Hanyang University, where the Hanchongryun office was located at the time, and suggested that he enter politics if he wanted to do politics together. (At that time, many people from the Hanchongryun policy committee worked as aides to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or entered politics.) However, the author of this book, Kim Gwang-su, made a different choice. He rejected him outright. “The position of the Hanchongryun policy committee chairman is not a position for personal advancement. Whether I like it or not, countless juniors and seniors who are devoted to the student movement or the progressive movement are watching me, so how can I enter politics when I can’t devote myself to the progressive social movement?” He refused. Second, there is a famous anecdote that has been handed down. He received the same offer to enter politics from the late “eternal friend of progressives,” Chairman Kim Geun-tae. The author describes the conversation at that time as follows: “Now, our movement has limitations in the way it demonstrates. Chairman Kim also said that he had to choose his path after his term ended, so let’s join the Democratic Party by forming a political group centered on the movement called the ‘National Conference for the Era of Unification’. Then, let’s take control of the Democratic Party and make it our new stronghold and base.” He also used this analogy: “Our establishing a new nest in the Democratic Party from the front organization of the progressive movement is like Lee Seong-gye’s ‘retreat from Wihwado,’ so let’s definitely work together.” The author is said to have responded as follows: “I ‘understand’ your choice, but it’s hard for me to ‘agree.’ You have your own path, and I have my own. And my path is not to betray the countless comrades I have worked with, so I will go down to Busan, my hometown of the movement, and devote myself to the labor movement or the frontline movement.” The author kept that promise. Since 1995, when he began working full-time at the Busan Alliance for Democracy and National Unification, he has been diligently working in the unification movement according to his beliefs.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naver band URL복사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