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연경, 은퇴 투어 '작별 인사' (2025.2.16) © 흥국생명 배구단 SNS |
김연경 은퇴 투어 경기를 보려는 팬들의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급기야 평일 경기임에도 6천석 경기장까지 조기 매진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배구 황제' 김연경(37·192cm)은 지난 13일 경기 직후 언론사 인터뷰에서 "올 시즌이 끝나면, 팀 성적과 관계없이 은퇴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은퇴 이유에 대해선 "제2의 인생을 살기 위해서, 그리고 항상 최고의 기량에 있을 때 내려오고 싶었는데 지금이 좋은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배구계와 팬들은 지난 시즌부터 김연경의 은퇴가 다가오고 있음을 이미 알고 있었다. 나이와 미래 계획 등을 고려하면 언제 은퇴해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막상 김연경이 은퇴를 공식화하자 모두가 당황하고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여자배구 프로구단들은 지난 17일 단장 간담회에서 김연경의 아름다운 이별을 위해 남은 정규리그 경기에서 은퇴 기념 행사를 개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에 따라 프로배구 V리그 역사상 최초로 '선수 은퇴 투어'가 실시되고 있다. 또한 프로배구가 프로야구에 이어 은퇴 투어를 실시한 2번째 종목이 됐다.
"한 경기라도 더 눈에 담아두자"... 은퇴 투어 '매진 열풍'
무엇보다 배구팬들이 여전히 김연경과 헤어질 마음의 준비가 덜된 모습이 역력하다. 그런 상황에서 김연경의 V리그 경기를 직관할 기회도 이제 10~12경기 정도밖에 안 남았다.
그런 당혹스러움이 "김연경 경기 모습을 한 번이라도 더 눈에 담아두자"는 심리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그러면서 은퇴 선언 이후 김연경 소속팀인 흥국생명의 경기가 '전 경기 매진'이라는 특급 열풍이 불고 있다. 경기장 규모, 주말과 평일 경기를 가리지 않고 티켓 예매가 조기 매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연경 은퇴 투어 첫 경기였던 지난 16일 IBK기업은행-흥국생명, 2번째 경기인 21일 현대건설-흥국생명 경기가 티켓 예매 시작 2시간여 만에 모두 매진됐다.
그에 따라 16일 IBK기업은행-흥국생명의 주말 경기가 열린 화성 실내체육관은 3945명의 만원 관중이 들어찼다. 21일 현대건설-흥국생명 경기가 열리는 수원 실내체육관은 평일임에도 3800명의 만원 관중이 확실시 된다.
챔프전도 아닌데... 6천석 홈구장 '평일 매진'
![]() ▲ IBK기업은행, 김연경 은퇴 투어 행사 (2025.2.16) © 흥국생명 배구단 SNS |
그런데 이는 예고편에 불과했다. 김연경 은퇴 선언 이후 3번째 경기인 25일 흥국생명-IBK기업은행전은 팬들의 충격과 직관 열기가 어느 정도인지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날은 평일 경기인데다, 경기가 열리는 흥국생명 홈구장인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은 좌석수가 6000석으로 V리그 남녀 14개 팀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다른 팀들의 홈구장이 대부분 3000~4000석인 점을 감안하면, 독보적인 규모다.
때문에 '김연경 효과'로 평소에도 주말 경기는 매진되는 경우가 많지만, 평일 경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직장인과 지방 팬들이 평일 저녁에는 경기장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올 시즌도 주말 경기는 6000명 이상 만원 초과 관중이 3번이나 있었지만, 평일 경기는 아직 매진 사례가 없었다.
그런데 김연경 은퇴 선언 이후에 열리는 25일 흥국생명-IBK기업은행 경기는 평일 경기임에도 6000석이 모두 매진됐다. 그것도 지난 20일 예매 시작 2시간 만에 동이 났다.
이는 앞으로 이어질 김연경 은퇴 투어 경기는 주말과 평일을 가리지 않고 모두 매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걸 의미한다.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가장 최근에 평일 경기가 매진된 사례는 지난 2023년 4월 6일 열린 2022-2023시즌 챔피언결정전 5차전 흥국생명-한국도로공사 경기였다. 이날 경기에 6125명의 만원 초과 관중이 들어찼다.
김연경, '대체 불가' V리그 흥행 주도력
사실 김연경의 은퇴 선언이 없었던 상황에서도 흥국생명 경기는 늘 최고 화젯거리였고, 홈과 원정 경기를 가리지 않고 구름 관중이 몰렸다. 흥국생명 '철쭉 응원단'의 열광적인 응원 열기는 V리그 특산품이 된 지 오래다. 이번 은퇴 선언은 그 열기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흥국생명은 올 시즌도 '김연경 효과'에 힘입어 평균 시청률과 홈구장 평균 관중 모두 남녀 14개 팀을 통틀어 압도적 1위다.
올 시즌 여자배구 시청률도 흥국생명 경기가 상위권을 주도하면서 후반기에 급등하고 있다. 특히 여자배구 정규리그 4라운드의 경기당 케이블TV 평균 시청률은 1.46%(전국 케이블 가구 기준)까지 치솟았다. 이는 V리그 역대 한 라운드 시청률 중 최고 기록이다.
홈구장 평균 관중도 21일 현재 흥국생명이 4078명으로 남녀부 통합 1위를 달리고 있다. 2위는 현대캐피탈 2956명, 3위 우리카드 2877명, 4위 GS칼텍스 2390명 순이다.
더욱 놀라운 대목은 올 시즌 현재까지 남녀 배구를 통틀어 '최다 관중 경기' 1위부터 12위까지가 모두 흥국생명이 출전한 경기라는 점이다.
김연경의 TV 시청률과 관중 동원 효과가 비단 여자배구뿐만 아니라 V리그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대적이라는 걸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다음 시즌부터 '김연경 없는 V리그'... 너무 큰 숙제
V리그를 주관하는 한국배구연맹(KOVO), 프로구단들이 당장 다음 시즌부터 맞이하게 될 '김연경 없는 리그'에 대해 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
김연경의 흥행 주도력을 대체할 대중적 슈퍼 스타는 현재 전무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국내 프로 리그 특성상 외국인 선수들이 뛰어난 활약을 펼쳐도 흥행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외국인 선수들의 비중이 커질수록 국내 스타의 도태 현상으로 국내 팬들의 외면을 초래하는 사례가 더 많다.
결국 '국내 스타'의 발굴과 육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김연경 없는 시대에 살아남을 최우선 과제일 수밖에 없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enthusiasm of fans who want to watch Kim Yeon-kyung's retirement tour matches is growing. In the end, even the 6,000-seat stadium is selling out early even though it is a weekday match.
'Volleyball Emperor' Kim Yeon-kyung (37, 192cm) officially declared in a media interview right after the match on the 13th, "When this season ends, I will retire regardless of the team's performance." Regarding the reason for her retirement, she said, "I wanted to live a second life, and I always wanted to step down when I was at my best, so I think now is a good time."
The volleyball world and fans already knew that Kim Yeon-kyung's retirement was approaching since last season. Considering her age and future plans, it would not have been strange for her to retire at any time. However, when Kim Yeon-kyung officially announced her retirement, everyone was shocked and bewildered.
On the 17th, professional women's volleyball teams agreed at a team leader meeting to hold a retirement ceremony during the remaining regular league matches to mark Kim Yeon-kyung's beautiful farewell.
Accordingly, the 'player retirement tour' is being hel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professional volleyball V-League. In addition, professional volleyball has become the second sport to hold a retirement tour after professional baseball.
"Let's see at least one more game"... Retirement tour 'sold out fever'
Above all, it is clear that volleyball fans are still not ready to say goodbye to Kim Yeon-kyung. In such a situation, there are only about 10 to 12 games left to watch Kim Yeon-kyung's V-League games.
That confusion is rapidly spreading into the mindset of "let's see Kim Yeon-kyung's game at least one more time."
In the meantime, since Kim Yeon-kyung's retirement announcement, the special fever of 'all games sold out' for Heungkuk Life Insurance, the team she plays for, is blowing. This is because tickets are selling out ear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tadium or whether the game is on a weekend or weekday.
In fact, the first game of Kim Yeon-kyung's retirement tour, the IBK Industrial Bank-Heungkuk Life Insurance game on the 16th, and the second game, the Hyundai Construction-Heungkuk Life Insurance game on the 21st, were all sold out within 2 hours of the start of ticket sales.
Accordingly, the Hwaseong Indoor Gymnasium, where the weekend game between IBK Industrial Bank and Heungkuk Life was held on the 16th, was filled with 3,945 spectators. The Suwon Indoor Gymnasium, where the Hyundai Construction-Heungkuk Life Insurance game on the 21st is held, is expected to be filled with 3,800 spectators even though it is a weekday.
It's not even a championship match... 6,000-seat home stadium 'sold out on weekdays'
However, this was only a preview. The third game after Kim Yeon-kyung's retirement announcement, the Heungkuk Life Insurance-IBK Industrial Bank game on the 25th, clearly showed the extent of the fans' shock and excitement.
This is a weekday game, and Incheon Samsan World Gymnasium, the home stadium of Heungkuk Life Insurance, where the game will be held, has 6,000 seats, making it the largest among the 14 V-League men's and women's teams. Considering that most other teams' home stadiums have 3,000 to 4,000 seats, this is an unrivaled size.
Because of the 'Kim Yeon-kyung effect,' weekend games are often sold out, but weekday games are difficult.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for office workers and fans from the provinces to visit the stadium on weekday evenings.
This season, there were three weekend games with over 6,000 spectators, exceeding 10,000 won, but there have been no sellouts for weekday games yet.
However, the Heungkuk Life Insurance-IBK Industrial Bank game on the 25th, which was held after Kim Yeon-kyung's retirement announcement, sold out all 6,000 seats despite being a weekday game. It was also sold out within 2 hours of ticket sales starting on the 20th.
This means that Kim Yeon-kyung's upcoming retirement tour games are likely to be sold out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weekends or weekdays.
The most recent case of a sold-out weekday game at Incheon Samsan World Gymnasium was the 5th match of the 2022-2023 season championship final between Heungkuk Life Insurance and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on April 6, 2023. The game was filled with over 6,125 spectators.
Kim Yeon-kyung, 'Irreplaceable' V-League box office success leader
In fact, even without Kim Yeon-kyung's retirement announcement, Heungkuk Life Insurance games were always the hottest topic, and spectators flocked to both home and away games. The enthusiastic cheering of Heungkuk Life Insurance's 'Azalea Cheering Squad' has long been a V-League specialty. This retirement announcement only added fuel to the fire.
Heungkuk Life Insurance is overwhelmingly first among the 14 teams in terms of average viewership and average home stadium attendance this season, thanks to the 'Kim Yeon-kyung effect'.
This season's women's volleyball viewership ratings are also skyrocketing in the second half, with Heungkuk Life Insurance games leading the top ranks. In particular, the average cable TV viewership rating per game for the 4th round of the women's volleyball regular season soared to 1.46% (based on nationwide cable households). This is the highest viewership rating for a single round in the history of the V-League.
As of the 21st, Heungkuk Life Insurance is also in first place in terms of average home stadium attendance with 4,078, both men's and women's teams. Hyundai Capital is in second place with 2,956, Woori Card is in third place with 2,877, and GS Caltex is in fourth place with 2,390.
What's even more surprising is that the 1st to 12th most-attended games for men's and women's volleyball this season are all games in which Heungkuk Life Insurance participated.
Kim Yeon-kyung's TV viewership and audience mobilization effects are proving that the influence is absolute not only on women's volleyball but also on the entire V-League.
'V-League without Kim Yeon-kyung' starting next season... too much homework
The Korea Volleyball Federation (KOVO), which hosts the V-League, and professional teams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the 'League without Kim Yeon-kyung' that they will face starting next season.
Not only is there currently no popular superstar who can replace Kim Yeon-kyung's box office dominance, but it is also unlikely to emerge in the future.
Furthermore, given the nature of domestic professional leagues, it is rare for foreign players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ox office performances even when they perform well. Rather, the more foreign players' presence increases, the more cases there are of domestic fans turning away due to the elimination of domestic stars.
Ultimately, the most important task for surviving in an era without Kim Yeon-kyung is how to discover and foster 'domestic st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