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하정열 화백, 세계를 향한 우주파(Cosmos Artist) 창립전

박정대 기자 l 기사입력 2025-03-12

본문듣기

가 -가 +

갤러리 모나리자 산촌은 최근 보도자료에서 “스스로를 우주예술가라 생각하며, 우주를 주제로 끊임없이 우주삼라만상을 탐구하면서 독창적인 소재와 방법으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창의적인 8명의 예술가가 모여 시대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우주파(Cosmos Artist)’를 결성하고, 창립전시회를 열고 있다”고 소개했다.

 

스스로를 우주예술가라 생각하며, 우주를 주제로 끊임없이 우주삼라만상을 탐구하면서 독창적인 소재와 방법으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창의적인 8명의 예술가가 모여 시대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우주파(Cosmos Artist)’를 결성하고, 창립전시회를 열고 있다.   ©브레이크뉴스

‘우주파(Cosmos Artist)’ 창립전시회.  ©브레이크뉴스

‘우주파(Cosmos Artist)’ 창립전시회. ©브레이크뉴스

 

이 자료에 따르면, 창립전시회는 2025년 3월 11일부터 20일까지 10일 동안 인사동에 위치한 갤러리 모나리자 산촌 전관에서 60여 점의 작품으로 진행된다. 아래는 이 자료의 주요 내용.

 

우리는 우주시대에 살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주는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었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와 미래는 우주가 시대정신이 될 것이다. 우리 인간에게 미래의 우주는 ‘희망’의 영역이다. 우주시대의 ‘시대정신(Zeitgeist)’은 ‘도전’, ‘개척’, ‘사랑’, ‘융합’이라 생각한다.

 

우리 인간은 문명이 탄생한 고대 이래, 수많은 신화를 만들고 과학이론을 전개하며 우주관을 발전시켜왔다. 우주의 형태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우주의 시작에 대한 추론, 초자연적인 신과의 관계, 그중에서 인간의 위치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앞으로 지구에서의 삶이 더 팍팍해질수록 인류는 우주를 향해 꿈을 꾸고, 미래의 삶의 터전을 향해 도전하면서 다른 행성에서 희망을 찾을 것이며, 인류의 우주를 향한 탐험과 노력은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과학자와 천문학자들은 우주를 연구하며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 소설가들은 우주를 소재와 주제로 공상과학소설을 쓰고, 영화제작자, 사진작가와 일러스트들은 다양한 우주작품들을 제작하고 있다. NASA를 포함한 기관들이 우주의 실체를 밝히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 선도적인 노력을 해오고 있다. 금세기 안에 달과 화성에 우주 도시가 건설되어 인류가 거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술가들은 우주작품에 도전하기를 망설이고 있다. 그 이유는 우주의 영역은 너무도 광범위하고, 예술의 대상으로 삼기에는 아직도 불확실한 대상이기 때문일 것이다. 창의적인 예술가는 어둠 속에서 한 줄기 빛을 바라보며,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것을 사명으로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예술과 문학 분야는 세계로 활발하게 진출하여, 이제는 세계 속에 주류의 일부로 자리매김하며 우뚝 서게 되었다. K-POP를 포함한 K-MUSIC, K-MOVIE, K-DRAMA를 뛰어넘어, 이제는 K-FOOD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작년에는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여 K-LITERATURE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그러나 유독 미술 분야에서는 세계적 조류를 뒤따라 가고 있는 모양세다. 비디오아트를 선도한 백남준 선생님과 일본의 모노파와 함께한 이우환 선생님, 그리고 모노크롬(Monochrome)과 차별화를 둔 단색화를 하나의 장르로 발전시킨 김환기, 박서보와 하종현 선생님 등이 세계 미술사에 나름 위상을 찾고 있다. 이제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선 대한민국에서도 미술 분야에서 세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작가들이 나올 때가 되었다. 바로 우주파가 그러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강숙희 작가는 작업에 몰입하는 그 순간이 바로 우주임을 깨닫고, 캔버스에 아크릴로 우주의 변화를 독창적으로 표현한다. 공병 작가는 내 영혼이 머물 곳이 우주라고 생각하며, 아크릴에 우주를 조각한다. 김경호 작가는 우리의 근본을 찾아 우주의 소리를 한지에 아크릴과 포스터칼라로 표현한다. 김연식 작가는 우주를 찰나의 인연이 그리는 끝없는 그물로 보고 이를 조형하거나, 평면미술로 구현한다. 김정택 작가는 자연의 돌과 나무의 문양 속에서 우주의 근본을 찾으며, 나무와 돌에 문자추상화를 그린다. 윤시현 작가는 영겁의 시간 속에 우주의 생명들이 연주하는 하모니를 Mixed Media를 활용하여 캔버스에 표현한다. 혜라 작가는 광할한 우주 속 푸른 지구의 모습 등 원초적인 아름다움을 캔버스에 세라믹으로 표현한다. 우주파의 섬김이 역할을 하고 있는 하정열 작가는 동서양의 사상과 물질을 융합하여 통상 한지에 먹과 유채로 우주의 삼라만상을 구현한다.

 

그들은 인간의 꿈과 희망이 우주와 긍정적으로 융합하는 모습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려고 노력하면서 미래를 향해 전진하려 한다. 그들은 우주의 무한 존재와 함께 대화하면서 우주시대의 시대정신을 작품으로 선도하며 세계적인 문화유산을 남기려고 노력할 것이다. 우주와의 융복합시대에 우주파의 탐험적이고 혁신적인 발걸음이 세계미술사에 큰 획을 그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되는 이유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rtist Ha Jeong-yeol, Cosmos Artist Inaugural Exhibition Towards the World

 

- Reporter Park Jeong-dae

 

Gallery Mona Lisa Sanchon recently introduced in a press release that “eight creative artists who consider themselves cosmos artists and constantly explore the universe with the theme of space and strive to express it with unique materials and methods have formed ‘Cosmos Artist’ to embod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are holding an inaugural exhibition.”

 

According to this document, the inaugural exhibition will be held for 10 days from March 11 to 20, 2025 at the entire Gallery Mona Lisa Sanchon in Insa-dong with approximately 60 works. Below are the main contents of this document.

 

We are living in the space age. Until recently, space was a vague object of longing, but in the era and future we live in, space will become the spirit of the times. For us humans, the future of space is a realm of ‘hope.’ I think the ‘Zeitgeist’ of the space age is ‘challenge’, ‘development’, ‘love’, and ‘fusion’.

 

Since the birth of civilization in ancient times, we humans have created numerous myths, developed scientific theories, and developed our view of the universe. We have talked not only about the shape of the universe, but also about the inferences about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 relationships with supernatural gods, and the position of humans among them. One thing is clear: as life on Earth becomes more difficult in the future, humans will dream of the universe, challenge themselves for a future home, and find hope on other planets, and humanity’s exploration and efforts toward the universe will become more active.

 

Scientists and astronomers are studying the universe and observing changes. Novelists write science fiction novels using the universe as their subject and theme, and filmmakers, photographers, and illustrators are creating various space works. Organizations including NASA are making leading effort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universe and utilize it. The possibility of space cities being built on the moon and Mars and being inhabited by humans within this century is increasing.

 

However, artists are hesitant to challenge space art. The reason is that the realm of space is too vast and still uncertain to be considered as an object of art. Creative artists are striving to embody the spirit of the times, looking for a ray of light in the darkness.

 

The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in Korea have actively advanced into the world, and now stand tall as part of the mainstream in the world. Beyond K-POP, K-MUSIC, K-MOVIE, and K-DRAMA, K-FOOD is now capturing the taste buds of people around the world. Last year, author Han Kang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further elevating the status of K-LITERATURE.

 

However, in the field of art in particular, it seems that they are following the global trend. Nam June Paik, who pioneered video art, Ufan Lee, who worked with the Monopa of Japan, and Hwanki Kim, Seobo Park, and Jonghyun Ha, who developed monochrome painting, which differentiated it from monochrome, into a genre, are finding their own status in the history of world art. Now, it is time for artists who can play a leading role in the world in the field of art to emerge from South Korea, which has joined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I look forward to seeing the Universe Wave play such a role. Artist Kang Sook-hee realizes that the moment she immerses herself in her work is the universe, and creatively expresses the changes of the universe with acrylic on canvas. Artist Gong Byeong believes that the universe is where my soul resides, and sculpts the universe with acrylic. Artist Kim Kyung-ho searches for our roots and expresses the sound of the universe with acrylic and poster color on Korean paper. Artist Kim Yeon-sik sees the universe as an endless net drawn by fleeting relationships, and creates sculptures or implements them as flat art. Artist Kim Jeong-taek finds the roots of the universe in the patterns of natural stones and trees, and draws abstract letters on trees and stones. Artist Yoon Si-hyun uses mixed media to express the harmony played by the creatures of the universe in the eternal time on canvas. Artist Hye-ra expresses the primordial beauty, such as the appearance of the blue Earth in the vast universe, on canvas with ceramic. Artist Ha Jeong-yeol, who plays a role in the service of the universe, combines Eastern and Western ideas and materials to realize all things in the universe using ink and oil on Korean paper.

 

They try to express the positive fusion of human dreams and hopes with the universe through their works and try to move forward toward the future. They will lead the zeitgeist of the space age through their works while conversing with the infinite existence of the universe and try to leave behind a world-class cultural heritage. This is why it is expected that the exploratory and innovative steps of the universe wave in the age of convergence with the universe will leave a great mark on the history of world art.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