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주의 삶 담은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전시포스터 |
[브레이크뉴스=박찬호 기자] 경남도립미술관은 2025년 첫 전시로 경남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이주민의 삶의 이야기를 다루는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전시는 3월 14일부터 6월 15일까지 도립미술관 1, 2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예술가, 이주민,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며, 현재 이주를 둘러싼 상황 속에서 우리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함께 나아갈 미래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남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외국인 체류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2024년 12월 기준 도내 등록외국인은 10만 2천 3백33명이며, 결혼이주민은 1만 2백87명에 달한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이주민은 도내에 11만 명을 넘어선다.
이번 기획은 이주민들이 선주민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서 기획되었다.
전시는 선주민과 이주민이 서로의 관점에서 함께 살아가는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각 작품은 서로 교차하고 연결되어 핵심 메시지를 전달한다. 관람객들은 정보적 텍스트보다는 개인의 감각으로 경험하고 의미를 탐색할 수 있다.
1전시실은 '만남'을 주제로 해미 클레멘세비츠의 <동서학>, 이연숙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하차연의 <캐를라의 여정>을 선보인다.
2전시실은 '지금 여기'를 주제로 이노우에 리에의 <비가 되기 전의 말들>과 경남의 이주 역사를 조명하는 '지속되는 삶과 이주' 섹션이 마련된다.
3전시실은 '혼란 그 후'를 주제로 송성진의 <한 평조차>, 야마우치 테루에의 작품, 제럴딘 하비에르의 <두 명의 프리다>가 전시된다.
박금숙 관장은 "혼란스러운 오늘과 내일의 가능성을 함께 마주하고 고민하며 소통할 때 새로운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며, "이번 전시는 삶의 희망을 찾아보는 여정"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strives to improve understanding. It assumes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nam Provincial Museum of Art announced on the 11th that it will hold the exhibition "It's Truly Amazing" from March 14 to June 15 on the 1st and 2nd floors of the museum as its first exhibition in 2025,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immigrants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nam.
This exhib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various entities such as artists, immigrants, and expert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contains content that deeply reflects on our perceptions and attitudes in the current situation surrounding immigration, as well as the future we will move forward together.
Gyeongnam is the reg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foreign residents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As of December 2024, there are 102,333 registered foreigners in the province, and 12,870 married immigrant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mmigrants exceed 110,000 people in the province.
This project was planned to find ways for immigrants to communicate naturally with the local residents and live happily.
The exhibition is designed to allow indigenous people and immigrants to reflect on their lives together from each other's perspectives, and each work intersects and connects with each other to deliver a core message. Rather than informational texts, visitors can experience and explore meaning with their own senses.
Exhibition Room 1 presents by Haemi Klemensiewicz, by Lee Yeon-sook, and <Carla's Journey> by Ha Cha-yeon under the theme of 'Encounter'.
Exhibition Room 2 presents by Inoue Rie under the theme of 'Here and Now' and the 'Continuing Life and Migration' section that sheds light on the history of migration in Gyeongnam.
Exhibition Room 3 presents by Song Seong-jin, works by Yamauchi Terue, and by Geraldine Javier under the theme of 'After the Chaos'.
Director Park Geum-sook said, “When we face, contemplate, and communicate about the confusing present and possibilities of tomorrow together, we can discover new hope,” and added, “This exhibition is a journey to find hope in life.”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경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