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경기도의회 김근용 의원, AI 행동패턴 기반 학교시설복합화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오경희 기자 l 기사입력 2025-03-26

본문듣기

가 -가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오경희기자] 경기도의회 의원연구단체 ‘AI 행동패턴 기반 학교시설복합화 연구회’(회장 김근용 의원)가 'AI 기반 행동 예측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학교시설 복합화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25일, 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보고회에는 김근용 의원을 비롯해 윤성근 의원(안전행정위원회), 김선희 의원(교육기획위원회), 경기도교육청 학교공간조성과, 연구수행기관 ㈜두구다 관계자가 참석했다.

 

용역을 수행한 ㈜두구다는 경기데이터드림 자료와 AI 기반 행동패턴 분석 기법을활용해 경기도를 네 개의 클러스터로 구분하고 화성, 연천, 평택, 남양주, 안양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ㆍ공급 비율과 접근성 데이터를 분석해 ▲지역특성 반영 ▲균형적 시설 배치 ▲접근성 강화 ▲주민참여 확대를 학교시설 복합화 기본 방향으로 제시했다.

 

김근용 의원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민 수요는 주로 문화예술시설과 체육시설에 집중된다”며 “복합화는 단순 유형 구분이 아닌, 지역에 맞춘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체육시설은 수영장, 실내체육관, 운동장 등으로, 문화예술시설은 공연장, 체험형 공간 등으로 세분화돼야 하며, 이러한 구체적 공간 유형이 보고서에 명확히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근용 의원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행부서가 경기형 학교시설복합화 모델을 적극 검토하길 바란다”며 “용역기관은 오늘 제안된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여 최종보고서를 제출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연구는 경기도형 학교시설복합화가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자리잡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Southern = Suwon Oh Kyung-hee Reporter] The Gyeonggi Provincial Assembly member research group 'AI Behavior Pattern-based School Facility Complex Research Group' (Chairman Assemblyman Kim Geun-yong) held the final report meeting for the research service on 'A plan to activate community-linked school facility complex using AI-based behavior prediction'.

 

On the 25th, the report meeting held in the conference room of the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of the Provincial Assembly was attended by Assemblyman Kim Geun-yong, Assemblyman Yoon Seong-geun (Safety Administration Committee), Assemblyman Kim Seon-hee (Education Planning Committe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chool Space Development Division, and research agency Duguda Co., Ltd.

 

Duguda Co., Ltd., which performed the service, divided Gyeonggi Province into four clusters using Gyeonggi Data Dream data and AI-based behavior pattern analysis techniques, and analyzed the demand/supply ratio and accessibility data centered on major regions such as Hwaseong, Yeoncheon, Pyeongtaek, Namyangju, and Anyang. It presented ▲refl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alanced facility placement ▲strengthening accessibility ▲expanding resident participation as the basic direction for school facility complex.

 

Rep. Kim Geun-yong sai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residents’ demand is mainly focused on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and sports facilities,” and added, “Complexation requires a microscopic approach tailored to the region, not a simple classification of types.”

 

He continued, “Sports facilities should be subdivided into swimming pools, indoor gymnasiums, and playgrounds, and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should be subdivided into performance halls and experiential spaces, and these specific space types should be clearly reflected in the report.”

 

Finally, Rep. Kim Geun-yong sai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hope the executive branch actively reviews the Gyeonggi-type school facility complex model,” and “I hope the service provider faithfully reflects the opinions proposed today and submits a final repor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Gyeonggi-do-type school facility complex as a feasible and sustainable policy.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