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00대 기업, 이직·희망퇴직에도 근속연수 증가..기아 21.8년 1위

정민우 기자 l 기사입력 2025-04-16

본문듣기

가 -가 +


브레이크뉴스 정민우 기자= 최근 2030세대의 활발한 이직과 불황으로 인한 희망퇴직 등으로 근속기간이 짧아지고 있다는 인식과는 달리,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오히려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100대 기업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으로 2020년 대비 0.48년 늘었다. 이는 2020년 13.55년에서 완만하게 상승해온 것으로, 여성 직원의 근속연수가 4년 새 1.56년 늘어나며 전체 평균 상승세를 이끌었다.

 

기업별로는 기아 직원들의 근속연수가 21.80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산밥캣은 근속연수가 3.20년으로 직원들의 근무기간이 가장 짧았다. 

 

16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100개 기업 중 최근 5년 동안 직원들의 근속연수를 공시한 8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으로 4년 전인 2020년보다 0.48년 늘어났다.

 

이번 조사에서 ‘평균 근속연수’는 사업 부문별 또는 성별 평균 근속연수와 해당 직원 수를 곱해 총 근속연수를 산출한 후, 이를 총 직원 수로 나눈 ‘1인당 평균 근속연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평균 근속연수는 기업이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시한 전체 평균 근속연수와 차이 날 수 있다.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2020년 13.55년, 2021년 13.70년, 2022년 13.63년, 2023년 13.91년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여성 직원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2020년 11.38년에서 2024년 12.94년으로 1.56년 증가한 반면, 남성은 같은 기간 14.29년에서 14.41년으로 0.12년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남녀 근속연수 격차는 2.91년에서 1.47년으로 절반 가까이 좁혀졌다.

 

기업별로 지난해 근속연수가 가장 긴 기업은 기아로, 직원 평균 21.80년을 근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KT(20.50년), SK인천석유화학(20.00년), 한국씨티은행(18.84년), SK에너지(18.68년), 한온시스템(18.64년), 대한항공(18.40년), SK지오센트릭(18.00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17.94년), 에스오일(17.80년) 순이었다.

 

반면, 100대 기업 중 근속연수가 가장 짧은 기업은 두산밥캣(3.20년) 이었다. 다음으로 미래에셋캐피탈(4.20년), HD현대중공업(4.30년), 키움증권(6.58년), 다우기술(6.88년), GS리테일(7.20년), 네이버(7.40년), 메리츠증권(7.40년), LG에너지솔루션(7.75년), LG이노텍(8.00년) 순으로 근속연수가 짧았다. 단, HD현대중공업의 경우, 분할 설립일인 2019년 6월을 기준으로 공시돼 근속연수가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 증가 폭이 가장 큰 기업은 SK네트웍스로, 2020년 9.05년에서 2024년 13.92년으로 4.87년 늘었다. 

 

이어 HD현대중공업(4.30년·3.40년↑), 이마트(13.10년·3.20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0.50년·3.00년↑), 삼성SDS(16.70년·2.80년↑), 삼성물산(14.70년·2.60년↑), 미래에셋증권(15.78년·2.41년↑), 롯데쇼핑(12.40년·2.40년↑), 현대엔지니어링(10.30년·2.30년↑), LG디스플레이(13.80년·2.20년↑) 등이었다.

 

반대로, 현대자동차는 같은 기간 18.80년에서 15.80년으로 근속연수가 3.00년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계속해서 SK에너지(18.68년·2.31년↓), 고려아연(12.58년·2.17년↓), 한화생명(16.40년·1.70년↓), SK지오센트릭(18.00년·1.63년↓), KG케미칼(12.40년·1.30년↓), KT(20.50년·1.10년↓), 현대모비스(12.80년·1.00년↓), 두산에너빌리티(13.00년·0.98년↓), 현대위아(13.10년·0.60년↓)도 근속연수가 뚜렷하게 줄었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100 companies, increase in length of service despite job changes and voluntary retirement..Kia ranks 1st with 21.8 years

 

Contrary to the perception that the length of employment is shortening due to the active job change of the 2030 generation and voluntary retirement due to the recent recession, the average length of employment of the top 100 companies in Korea actually increased slightly.

 

The average length of employment of employees at these top 100 companies was 14.03 years, up 0.48 years from 2020. This is a gradual increase from 13.55 years in 2020, and the length of employment of female employees increased by 1.56 years in 4 years, leading the overall average increase.

 

By company, Kia employees had the longest length of employment at 21.80 years. On the other hand, Doosan Bobcat had the shortest length of employment at 3.20 years.

 

According to CEO Score on the 16th,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of these companies last year was 14.03 years, an increase of 0.48 years from 2020, four years ago,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80 companies among the top 100 companies in terms of sales that disclosed the length of service of their employees over the past five years.

 

In this survey, ‘average length of service’ refers to ‘average length of service per person’, which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by business division or gender by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n dividing it by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Therefore,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may differ from the overall average length of service disclosed by the company through its business report.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of the top 100 companies in Korea is showing a gradual increase, with 13.55 years in 2020, 13.70 years in 2021, 13.63 years in 2022, and 13.91 years in 2023.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female employees was remarkable.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for female employees increased by 1.56 years from 11.38 years in 2020 to 12.94 years in 2024, while that for male employees increased by only 0.12 years from 14.29 years to 14.41 years during the same period. Accordingly, the gap in length of service between men and women narrowed by nearly half from 2.91 years to 1.47 years.

 

The company with the longest length of service last year was Kia, with an average of 21.80 years of service for its employees.

 

This was followed by KT (20.50 years), SK Incheon Petrochemical (20.00 years), Korea Citibank (18.84 years), SK Energy (18.68 years), Hanon Systems (18.64 years), Korean Air (18.40 years), SK Geocentric (18.00 years), Korea Standard Chartered Bank (17.94 years), and S-Oil (17.80 years).

 

On the other hand, the company with the shortest length of service among the top 100 companies was Doosan Bobcat (3.20 years). Next, Mirae Asset Capital (4.20 years), HD Hyundai Heavy Industries (4.30 years), Kiwoom Securities (6.58 years), Dow Technology (6.88 years), GS Retail (7.20 years), Naver (7.40 years), Meritz Securities (7.40 years), LG Energy Solutions (7.75 years), and LG Innotek (8.00 years) had the shortest length of service. However, in the case of HD Hyundai Heavy Industries, it was disclosed based on June 2019, the date of its spin-off establishment, so the length of service was relatively short.

 

The company with the largest increase in length of service was SK Networks, which increased by 4.87 years from 9.05 years in 2020 to 13.92 years in 2024.

 

Next were HD Hyundai Heavy Industries (4.30 years, 3.40 years↑), E-Mart (13.10 years, 3.20 years↑), Hankook Tire & Technology (10.50 years, 3.00 years↑), Samsung SDS (16.70 years, 2.80 years↑), Samsung C&T (14.70 years, 2.60 years↑), Mirae Asset Securities (15.78 years, 2.41 years↑), Lotte Shopping (12.40 years, 2.40 years↑), Hyundai Engineering (10.30 years, 2.30 years↑), and LG Display (13.80 years, 2.20 years↑).

 

On the other hand, Hyundai Motor Company had the largest decrease in length of service, decreasing by 3.00 years from 18.80 years to 15.80 years during the same period.

 

The length of service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t SK Energy (18.68 years, down 2.31 years), Korea Zinc (12.58 years, down 2.17 years), Hanwha Life Insurance (16.40 years, down 1.70 years), SK Geocentric (18.00 years, down 1.63 years), KG Chemical (12.40 years, down 1.30 years), KT (20.50 years, down 1.10 years), Hyundai Mobis (12.80 years, down 1.00 years), Doosan Energy (13.00 years, down 0.98 years), and Hyundai Wia (13.10 years, down 0.60 years).

광고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