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비판은 10%만 하고 동력을 잃지 않는게 중요하다!

황흥룡 칼럼니스트 l 기사입력 2025-06-10

본문듣기

가 -가 +

▲필자/ 황흥룡 칼럼니스트.     ©브레이크뉴스

대선에서 승리하면 '정치'와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sns에서 소소한 글을 주로 쓸려고 진작부터 마음먹고 있었기 때문에, 최대한 실천하려고 생각중입니다. (해서, 며칠 전부터 정치 관련 포스팅을 상당히(?) 줄이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대통령실 인사를 둘러싼 설왕설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것과 흡사한 것 같습니다. 즉, 문재인 정부에서 '윤석열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통제'에 실패하여  임기 내내 골머리를 썩다가 결국은 정권마저 빼앗긴 치욕을 잊지 말자, 따라서 이번에는 제대로 철저하게 인사 검증을 하고 꼭 필요한 사람을 발탁해서 쓰자, 하는 '충정'의 마음과 염려들이 여러 방식으로 표출된 것 같습니다.

 

저는 친구들께서 각자 나라 걱정하는 마음의 진정성을 믿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 자체에 대해서 뭐라고 판단할 마음은 1도 없습니다. 다만, 문재인 전 대통령의 개인적인 성정이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제가 동의하기 어렵거나 혹은 제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부분이 있어서, 간단히 몇 자 적습니다.

 

일반적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 사이에서, 그리고 한때는 열렬한 지지자였으나 어느 순간부터 지지를 철회하고 강한 비토 그룹이 된 사람들 사이에서, 문재인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지 않는가, 싶습니다. 예컨대, 문재인이 심성이 착해서 혹은 물러서 윤석열한테 당한 것이다, 같은 판단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문재인 정권 당시, 제가 들은 여러 정보로는, 문재인 대통령의 가장 고질적인 문제는 '고집이 (엄청) 세다'는 것이었습니다. 한 번 자기 뜻을 정하면 좀처럼 굽히지 않는다는 것입니다(우리가 알던 겉모습과는 상당히 다릅니다).

거기에 더해, 아주 오랫동안 알고 지냈던 소수의 최측근이 아니면 좀처럼 사람을 믿지 못한다는, 평도 적지 않았습니다.

 

결국, 이런 개인적인 특성들이 국정 운영에 반영될 때는,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합리적으로 취사선택하기 보다는, 본인 혹은 최측근의 생각대로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는 방식으로 표출되기 십상이었던 것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지지자들 사이에서 아무리 윤석열을 짜르라고 성화를 해도, (대선을 앞두고) 재난지원금을 과감히 폭넓게 지원하라고 해도, 청와대가 꿈쩍도 안 한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이런 특성 때문이라고 봤습니다. (물론 제가 접했던 정보나 판단이 틀릴 수도 있습니다.) 그에 반해, 이재명의 장점 하나는, 처음에 확고한 자기 생각이 있더라도 토론이나 대화 과정에서 더 나은 의견을 접하면 곧바로 상대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수용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 점이 문재인과 이재명의 가장 큰 차이라고 봤으며, 그래서 지난 2022년에 치러진 20대 대선에서 이재명을 강력하게  지지했던 것입니다. 사실, 대한민국에서 '대통령'의 자리는 '독선적'이 되기 가장 쉬운 자리입니다. 우선, 국내외의 최신 고급 핵심 정보가 대통령 개인에게 '수렴'됩니다. 대한민국에서 대통령보다 더 많은 것을,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다음, 대통령실의 업무란 것이 일반인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격무'이다 보니까, 통상 정권 3년차쯤 되면 대통령실 직원들의 안위와 건강을 위해서 물갈이를 합니다. 따라서 정권 3년차부터는 대통령만큼 국정 운영에 대해서 많이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아무튼, 이런 이유들로 인해 대통령의 자리는 고독한 독선자가 되기 쉽습니다.

 

고로, 이재명이 앞으로 임기 내내 열린 귀와 가슴을 갖고 보다 많은 사람들의 합리적인 의견과 제안을 경청해야 할 것입니다. 다행히, 저는 역대 어떤 대통령보다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끝으로, 제가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우려하는 바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늘상 소위 진보 그룹에서 서로 헐뜯고 비방하다, 결국은 보수에게 빌미를 제공하고 발목을 잡혀서 마침내 낭패를 본다는 것입니다. (제 경험상 예외가 없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방침을 최대한 지지하는 분들이나, 비판적으로 지지하는 분들이나, 모두 근본적인 마음은 똑같습니다.  새 정권이 잘 되길 바라고, 이재명이 성공한 대통령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입니다. 그러나 (같은 편끼리) 서로 생각과 의견이 다르다고 해서 그걸 감정을 실어 너무 과격하게 다투다 보면, 앙금이 생길 수밖에 없고, 진영이 갈라지고, 향후 숱한 이슈에서 전선을 만들게 되고, 결국은 '국민주권정부'에게 타격을 입힌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논쟁하고 다툴 때에도, 좀 더 여유를 갖고 즐겁게 다투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5년 후에도, 또 그다음 5년 후에도, 계속해서 정권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것은 한국의 민주주의를 얼마나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느냐는 절체절명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heungyong57@hanmail.net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t is important to criticize only 10% and not lose momentum!

-Columnist Hwang Heung-ryong

 

I have been thinking about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politics' and writing mainly small articles on SNS after winn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so I am thinking of doing my best to do so. (That is why I have been reducing my political-related posts significantly(?) for the past few days.)

If I were to summarize the new government an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presidential office personnel in one word, it would be similar to 'a heart that is surprised to see a child is surprised to see a pot lid'. In other words, let's not forget the humili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s failure to 'thoroughly verify and control Yoon Seok-yeol', which caused headaches throughout the term and eventually led to the loss of power, so this time, let's properly and thoroughly verify personnel and select and use the people who are absolutely necessary. It seems that the 'loyal' heart and concerns have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Since I trust my friends’ sincerity in caring for their country, I have no intention of judging the various opinions themselves. However, I will briefly write a few words about former President Moon Jae-in’s personal character or state administration style, because I find it difficult to agree with them or because they are different from what I know.

In general, I think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s’(?) about Moon Jae-in among supporters of former President Moon Jae-in and among those who were once ardent supporters but withdrew their support at some point and became a strong veto group. For example, there are typical judgments that Moon Jae-in is kind-hearted or that he backed down and was defeated by Yoon Seok-yeol.

However, as far as I know, that is not the case. According to various information I have heard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President Moon Jae-in’s most chronic problem was that he was ‘(extremely) stubborn.’ Once he makes up his mind, he rarely bend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we know about his appearance).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omments that he could not trust anyone unless they were a few close associates he had known for a very long time.

In the end, when these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state affairs, they were more likely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stubbornly) pushing forward with his or his close associates’ thoughts rather than listening to various opinions and making rational choices. Personally, I saw this characteristic as the decisive reason why the Blue House did not budge even when supporters were urging him to cut Yoon Seok-yeol or boldly provide disaster relief funds (ahead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course, the information or judgment I received could be wrong.) On the other hand, one of Lee Jae-myung’s strengths is that even if he initially had a firm opinion, he would immediately accept the other person’s thoughts and ideas if he heard a better opinion during a discussion or conversation.

I saw this a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Moon Jae-in and Lee Jae-myung, and that is why I strongly supported Lee Jae-myung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held in 2022. In fact, the position of the 'president' in South Korea is the position that is easiest to become 'self-righteous'. First of all, the latest high-level key information from home and abroad is 'converged' to the president personally. In South Korea, no one knows more or more accurately than the president. Second, because the work of the presidential office is 'heavy' beyond the imagination of ordinary people, usually around the third year of a government, there is a change of staff for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presidential office staff. Therefore, from the third year of a government, there is no one who knows as much about state affairs as the president. Anyway, for these reasons, the position of the president is easy for a lonely self-righteous person. Therefore, Lee Jae-myung should have an open ear and heart throughout his term and listen to the rational opinions and suggestions of more people. Fortunately, I think that is more likely than any other president in history. Finally, I have one concern that comes from my long experience. It is that the so-called progressive group always criticizes and slanders each other, and eventually gives the conservatives an excuse and gets caught, and ends up suffering a defeat. (In my experience, there were no exceptions.) Whether you fully support President Lee Jae-myung's personnel policy or critically support it, everyone has the same fundamental intention. They want the new government to do well and hope that Lee Jae-myung will become a successful president. However, if (people on the same side) fight too fierce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thoughts and opinions, it is inevitable that ill feelings will develop, the camps will split, and they will have to create front lines on numerous issues in the future, which will ultimately damage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sovereignty.'

That is why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have more leeway and enjoy the fight when arguing and fighting. That is because only then can we continue to create a government in five years, and five years after that. (This is also a critical issue of how sustainable Korean democracy can be.) heungyong57@hanmail.net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