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하이브(HYBE), 신성장 전략 ‘하이브 2.0’ 발표..뮤직그룹 APAC 신설

박동제 기자 l 기사입력 2024-08-01

본문듣기

가 -가 +

▲ 하이브(HYBE)     ©브레이크뉴스

 

 

브레이크뉴스 박동제 기자= 하이브는 1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초격차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 전략 ‘하이브 2.0’을 공개했다. 팬덤 비즈니스 모델을 글로벌 주요 시장에 확대 전개하는 동시에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대응하는 선제적 혁신을 이룬다는 구상이다. 

 

하이브 2.0을 통해 기존 레이블, 솔루션, 플랫폼으로 구성됐던 하이브의 3대 사업영역은 음악, 플랫폼, 그리고 테크기반 미래성장 사업으로 재편된다. 하이브는 중장기적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하이브 2.0 전략을 준비해 왔다.

 

음악 사업 영역에서는 본질인 콘텐츠 품질과 팬 경험을 더욱 향상하고, 한국·미국·일본·라틴 사업의 확장 및 지역간 시너지 창출을 더욱 가속화해 나갈 계획이다. 

 

플랫폼 사업의 핵심축인 위버스는 일본과 미국을 대상으로 장르를 확대하고, 서비스 모델의 고도화를 통해 아티스트 활동을 활성화 해 팬들에게 더욱 풍부한 경험을 제공한다. 테크기반 미래성장 사업 영역에서는 현재 인큐베이팅 중인 게임사업의 본격적 확장과 더불어 미래형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선행 R&D가 추진될 예정이다.

 

◆ 멀티레이블 고도화 첨병 ‘HYBE MUSIC GROUP APAC’ 신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이브는 음악사업 부문에서 국내 및 일본 멀티레이블 사업을 총괄하는 ‘하이브 뮤직그룹 APAC(HYBE MUSIC GROUP APAC)’을 신설한다. 하이브 뮤직그룹 APAC은 레이블 사업 성장 및 혁신에 필요한 전략 및 프로세스 강화, 리소스 투자 및 음악 서비스 기능의 고도화에 집중한다. 음악사업의 본질을 강화하고 글로벌 사업 확장을 가속하기 위함이다.

 

HYBE MUSIC GROUP APAC의 초대 대표는 신영재 빅히트뮤직 대표가 맡는다. 신영재 대표는 지난 2019년 하이브의 전신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입사한 이래 다양한 전략, 정책, 사업모델 개발을 담당했다. 2020년부터 빅히트뮤직의 대표직을 맡아 레이블 조직 및 기능 고도화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방탄소년단과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글로벌 시장에서 괄목할 성과를 내는 데 앞장섰다.

 

◆ ‘멀티 홈, 멀티 장르’ 전략으로 글로벌 음악사업 주도적 사업자 자리매김

 

하이브는 미국, 일본, 라틴을 중심으로 현지 문화와 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전개해 현지 시장에서의 주도적 사업자 위상을 확보하는 ‘멀티 홈, 멀티 장르(Multi-home, Multi-genre)’ 전략을 추진 중이다. 하이브 2.0에선 각 시장환경에 맞게 K-팝 노하우를 접목하는 방식으로 사업 전략이 구체화된다. 각 시장에서 주도적 사업자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동시에 기존에 K-팝을 소비하지 않았던 층에도 장르 확장을 통해 하이브의 생태계로 유입시키는 포석이다. 

 

세계 최대 음악 시장인 미국에서 하이브는 레이블서비스 출범과 현지화 신인 개발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하이브 아메리카 산하에 미국의 전통적인 매니지먼트사업과 하이브의 360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한 레이블서비스가 출범한다. 레이블 서비스는 아티스트의 커리어 성장곡선을 함께 설계하고 각 단계별로 적절한 사업모델을 제공한다. 하이브의 강점인 아티스트 성장을 지원하는 조력자로서의 사업 모델을 개발해 현지 아티스트와 단순한 레코딩 혹은 매니지먼트 계약을 넘어,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레이블서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 하이브는 올해 데뷔한 캣츠아이를 시작으로 미국 현지화 신인을 지속 배출한다는 구상이다. 캣츠아이는 지난 6월 데뷔한 하이브의 첫 미국 현지화 그룹으로, 게펜 레코드와 협업을 통해 미국 팝 장르에 K-팝 방법론을 도입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탄생했다. 하이브는 캣츠아이 데뷔를 위해 미국 현지에 트레이닝, 마케팅 및 프로모션, A&R 등 아티스트 육성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후에도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해 현지화 신인을 계속해서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2위 음악시장인 일본에선 현지화 아티스트 제작과 J-팝 시장 내 솔루션사업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일본 시장에서 K-팝 성장세와 J-팝 장르에서의 존재감을 동시에 키워나가, 하이브가 일본에서도 한국에서의 위상에 버금가는 선두 사업자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하이브 재팬은 &TEAM에 이은 새로운 일본 현지화 신인도 선보일 예정이다.

 

하이브 재팬은 성장에 가속도를 붙이기 위해 김영민 전 SM엔터테인먼트 총괄사장을 하이브 재팬 회장(Chairman)으로 신규 선임한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대표적 ‘일본통’으로 알려진 김영민 회장은 K-팝 산업에서 하이브가 수립한 성공 방정식을 일본 시장에 접목, 하이브 재팬을 일본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도약시킨다는 포부다. 

 

라틴 시장을 담당하는 하이브 라틴 아메리카는 현재 멕시코시티에 전용 스튜디오를 건설하는 등 인프라 구축을 진행 중이다. 프로듀서 및 아티스트 영입과 육성도 추진하고 있다. 하이브 라틴 아메리카는 강력한 로컬 대표 사업자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음악 기반 사업모델과 기술 주도 신사업의 전개를 빠르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내년부터 K-팝 시스템을 도입해 제작하는 하이브 라틴 첫 아티스트의 데뷔를 포함한 다양한 성과가 공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슈퍼팬 플랫폼 위버스 구독형 멤버십 론칭..팬덤 서비스 모델 확장

 

글로벌 최대 슈퍼팬 플랫폼 위버스는 올해 4분기부터 팬덤 서비스 모델을 확장해 한 단계 더 높이 도약한다.

 

먼저 구독형 멤버십 서비스가 오는 4분기 론칭 예정이다. 구독형 멤버십은 기존 팬클럽 멤버십과는 별도 서비스로 동시에 운영되며, 팬들이 위버스를 더 편리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향상된 기능과 일부 팬클럽 이용 서비스를 연동해 함께 제공한다. 

 

본 서비스는 디지털 멤버십 카드, 보너스 젤리(디지털 재화) 충전, 광고 없는 영상 시청, VOD 오프라인 저장 등으로 구성된다. 멤버십 콘텐츠 조회, 이벤트 우선 참여 등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위버스에 입점한 아티스트는 누구나 원하는 시점에 편리하게 구독형 멤버십 서비스를 오픈해 활용할 수 있다. 

 

아티스트와 팬들의 소통창구로 사랑받고 있는 ‘위버스 DM’은 올해 중 하이브 아티스트를 포함한 다양한 아티스트들로 서비스가 확대 오픈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초부터 위버스의 일부 영역에 제한적으로 도입한 광고를 연내 본격적으로 적용한다. 

 

◆ 하이브 중장기 신성장 동력, 테크기반 미래 성장사업 통해 확보

 

하이브 2.0의 테크기반 미래 성장사업 부문은 엔터테인먼트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신성장 영역에 대한 전략적 탐색과 선점을 담당한다. 콘텐츠 관련 기술의 적극적 융합 시도와 고객 경험 변화 방향성을 예측해 하이브의 중장기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테크기반 미래 성장사업 부문에선 하이브 내부에서 준비해 온 다양한 신사업들의 전략 조율 및 연계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게임사업을 포함한 ▲오디오/보이스 기술 ▲생성형 AI ▲오리지널 스토리 비즈니스 ▲온/오프라인 통합 경험설계 등이 사업모델 검증 및 테스트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다. 관련 영역에서 회사의 미래 방향성과 수익성을 고려한 신규 투자가 신중하게 진행될 계획이다.

 

이재상 하이브 신임 CEO는 “음악, 플랫폼, 테크기반 미래 성장사업 육성을 골자로 하는 하이브 2.0을 기반으로 하이브는 국내 및 글로벌 음악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플랫폼 사업을 통하여 변화하는 슈퍼팬 시장에서 선두의 위치를 공고히 하며, 테크기반 미래 성장사업을 통해 중장기적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ybe Announces New Growth Strategy ‘Hybe 2.0’..Establishes Music Group APAC

 

Reorganization of 3 Axis Businesses: Music, Platform, and Tech-based Future Growth

 

 

Break News Reporter Park Dong-jae = Hybe unveiled its business strategy ‘Hybe 2.0’ on the 1st to secure a super gap leadership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e idea is to expand the fandom business model to major global markets while achieving preemptive innovation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rough Hybe 2.0, Hybe’s three major business areas, which were previously comprised of labels, solutions, and platforms, will be reorganized into music, platforms, and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es. Hybe has been preparing the Hybe 2.0 strategy since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to secure mid- to long-term business competitiveness.

 

In the music business area, it plans to further improve the essential content quality and fan experience, and further accelerate the expansion of its Korean, US, Japanese, and Latin businesses and the creation of regional synergy.

 

Weverse, the core axis of the platform business, is expanding its genres to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by activating artist activities through the advancement of its service model, it will provide fans with a richer experience. In the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 area, in addition to the full-scale expansion of the game business currently incubating, advanced R&D on future entertainment will be promoted.

 

◆ Establishment of ‘HYBE MUSIC GROUP APAC’, the vanguard of advanced multi-label business

 

Specifically, HYBE is establishing ‘HYBE MUSIC GROUP APAC’, which will oversee domestic and Japanese multi-label businesses in the music business sector. HYBE MUSIC GROUP APAC will focus on strengthening strategies and processes necessary for label business growth and innovation, investing in resources, and advancing music service functions. This is to strengthen the essence of the music business and accelerate global business expansion.

 

The first representative of HYBE MUSIC GROUP APAC will be Shin Young-jae, CEO of Big Hit Music. Since joining Big Hit Entertainment, the predecessor of HYBE, in 2019, CEO Shin Young-jae has been in charge of developing various strategies, policies, and business models. Since assuming the position of CEO of Big Hit Music in 2020, he has successfully led the label organization and functional advancement, and has taken the lead in BTS and Tomorrow by Together achieving remarkable results in the global market.

 

◆ Establishing a leading position in the global music business with the ‘Multi-home, Multi-genre’ strategy

 

HYBE is pursuing the ‘Multi-home, Multi-genre’ strategy to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local market by developing businesses that reflect loc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US, Japan, and Latin America. In HYBE 2.0, the business strategy will be specified by incorporating K-pop know-how according to each market environment. It is a stepping stone to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each market and at the same time introduce genre expansion to groups that did not previously consume K-pop into HYBE’s ecosystem.

 

In the United States, the world's largest music market, HYBE plans to focus on launching a label service and developing localized rookies.

 

First, a label service that combines the traditional management business in the United States and HYBE's 360 business model will be launched under HYBE America. The label service will design the career growth curve of artists together and provide an appropriate business model for each stage. HYBE plans to develop a business model as an assistant that supports artist growth, which is HYBE's strength, and operate the label service by providing comprehensive services beyond simple recording or management contracts with local artists.

 

In addition, HYBE plans to continue to produce localized rookies starting with Catseye, which debuted this year. Catseye is HYBE's first localized group in the United States, and was born through a project to introduce K-pop methodology to the American pop genre through collaboration with Geffen Records. HYBE built various infrastructures for training, marketing and promotion, A&R, and other artist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debut of Catseye. It is expected that the built infrastructure will continue to be utilized to produce localized rookies in the future.

 

In Japan, the world's second largest music market, the company plans to focus on producing localized artists and expanding its solution business in the J-pop market. The ultimate goal is to simultaneously increase the growth of K-pop in the Japanese market and its presence in the J-pop genre, and for HYBE to establish itself as a leading business operator in Japan that rivals its status in Korea. HYBE Japan will also introduce new localized rookie artists following &TEAM.

 

In order to accelerate growth, HYBE Japan has appointed former SM Entertainment CEO Kim Young-min as Chairman of HYBE Japan. Chairman Kim Young-min, known as a representative 'Japan exper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ims to apply HYBE's formula for success in the K-pop industry to the Japanese market and make HYBE Japan the best entertainment company in Japan.

 

HYBE Latin America, which is in charge of the Latin market, is currently building infrastructure, including constructing a dedicated studio in Mexico City. It is also pursuing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producers and artists. Hive Latin America plans to rapidly promote various music-based business models and technology-driven new businesses through partnerships with strong local representative operators. Various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be revealed, including the debut of the first Hive Latin artist to be produced using the K-pop system starting next year.

 

◆ Superfan platform Weverse subscription membership launch… Fandom service model expansion

 

The world's largest superfan platform Weverse will expand its fandom service model starting in the fourth quarter of this year and take a leap forward.

 

First, the subscription membership service is scheduled to be launched in the fourth quarter. The subscription membership will be operated simultaneously as a separate service from the existing fan club membership, and will provide enhanced functions that allow fans to use Weverse in a more convenient environment and some fan club usage services.

 

This service consists of a digital membership card, bonus jelly (digital goods) charging, ad-free video viewing, and VOD offline storage. Membership content viewing and priority event participation can also be optionally included. Any artist who has joined Weverse can conveniently open and utilize the subscription membership service at any time they want.

 

‘Weverse DM’, which is lov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rtists and fans, is scheduled to expand its service to various artists including Hive artists this year. In addition, advertisements that were introduced in a limited manner in some areas of Weverse from the beginning of this year will be fully applied within the year.

 

◆ Hive’s mid- to long-term new growth engine secured through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

 

The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 division of Hive 2.0 is responsible for strategic exploration and preemption of new growth areas that arise due to change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environment. The goal is to secure Hive’s mid- to long-term new growth engine by actively attempting to integrate content-related technologies and predicting the direction of changes in customer experience.

 

In the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 division, strategic coordination and linkage work for various new businesses that Hive has prepared internally will be carried out. Currently, ▲ including the game business, ▲ audio/voice technology ▲ generative AI ▲ original story business ▲ online/offline integrated experience design, etc. are being promoted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model verification and testing. New investments in related areas will be carefully made considering the company’s future direction and profitability.

 

Lee Jae-sang, the new CEO of HYBE, said, “Based on HYBE 2.0, which focuses on fostering music, platform, and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es, HYBE will continuously develop its domestic and global music business, solidify its leading position in the changing super fan market through its platform business, and focus on securing mid- to long-term growth momentum through tech-based future growth businesses.”

 

dj3290@naver.com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