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스스로를 비주류(非主流)로 낮추면서, 세상을 한탄하는 사람은 바보!

문일석 발행인 l 기사입력 2024-08-10

본문듣기

가 -가 +

필자는 8월9일 저녁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부근의 식당에서 황산 박사(철학박사)와 저녁을 함께 했다.

 

페이스 북에서, 황산 박사께서 쓰신 주류-비주류를 논한 글을 읽고,  감동(感動)을 받은 터였다.

 

황산 박사(오른쪽-8월9일 저녁)와 필자(문일석-왼쪽).  ©브레이크뉴스

필자(문일석 브레이크뉴스 발행인)의 최근(2024.8.2.) 모습.   ©브레이크뉴스

브레이크뉴스 자체사옥 전경(뒷건물은 경찰청사).   ©브레이크뉴스

 

필자는 지난 8월2일 페이스북에 “나는, 이제에서야 비주류에서 탈각, 주류가 됐다!”라는 제목을 글을 올렸다. 아래는 이 글의 전문이다.

 

“페이스북은 지식의 거대한 창고(倉庫)이다. 내가 모르는 것들을 시시때때로, 아는 분들이 가르쳐 주기 때문이다.

 

8월2일, 페이스북 친구인 황산 님(인문학 연구자. 철학박사)이 쓴 글을 읽고, 공감(共感)했다.

 

필자는 51년 기자생활을 해오면서 비주류(非主流)임을 토로해왔었다. 일간신문-공중파 방송이  아닌, 주간신문-인터넷신문에서만 유영(遊泳)해왔기 때문이다. 확실히 주류는 아니었다. 필자는 주간신문인 토요신문(3년)과 일요서울(3년)의 편집국장을 거쳤다. 그 이후 주간현대(27년), 브레이크뉴스(21년)의 발행인으로 일해 왔다.

 

그런 과정을 거쳐, 어느 시점부터 내가 주류(主流)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 시점이란, 인터넷 세상이 되면서부터이다. 어느 시점부터, 일간신문들이 가판대에서 팔리지 않고, 공중파 방송들의 시청률이 한자리 수로 떨어졌다. 인터넷 세상이 됐기 때문이다.

 

필자는 인터넷 1세대로 브레이크뉴스를 이끌어왔다. 지난 21년간 인터넷 매체 상위 순위를 지켜왔다. 당당한 주류(主流)였다. 월 1천 만명의 방문자들이 줄을 이었다.

 

그런데도 세상은 주류 대접을 해주지 않았다. 세상은 확 바뀌었는데도, 여전히 레거시 언론(legacy system-기성 언론)들의 세상이었다. 오랫동안 비주류 속에서 생활, 이에 안착해온 습관-착각이었는지, 세상 바뀐 줄을 몰랐다.

 

그런데 황산 님(인문학 연구자)이 쓴 글을 읽고서야, 비로소 그 이유를 알게 됐다. 황산 님은 이 글에서 “현대 문화와 문학의 영토에서 '비주류'는 더 이상 변방의 존재를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비주류는 새로운 주류로 자리잡아가고 있고, 비주류적 주류적 흐름이 된다. 반면 전통적인 주류는 소멸의 길을 걷거나 자기 변형을 요구받게 된다. 문화 권력이나 국가의 힘과 권위에 기반을 둔 국가 지식(들뢰즈는 이를 왕립지식이라 칭했다)은 여전히 맹위를 떨치겠지만, 소수적 지식 및 변방의 흐름에서 언제나 새로운 흐름을 창안함으로써 기존의 흐름에 균열을 내는 거다.”이라면서 “비주류는 독자, 작가들, 비전문가, 비학자, 독립연구자들, 매체를 독점하지 않은 이들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는 주류와 비주류의 경계가 뚜렷하여, 주류는 학계와 출판계를 손에 쥐고 문화와 문학의 기준을 설정했고, 비주류는 이에 순응하거나 도전하는 변방의 흐름으로 가만히 흘렀다. 그런데 인터넷 시대의 도래는 이러한 경계를 허물어뜨렸다. 이제 대중들은 더 이상 일방적인 수용자가 아니다. 그들은 적극적으로 서로 소통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직접 자신의 작품을 SNS에 올려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글 콘텐츠에 대해 실시간 피드백을 하며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흐름이 비주류가 주류적으로 변하고, 문화적 흐름이 뒤집어지는 배경”이라고 진단했다.

 

황산 님은, 이어지는 글에서 “이제 비주류는 더 이상 변방의 목소리가 아니다. 그들은 새로운 주류로 자리 잡으며, 문화/글쓰기/문학/출판독서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주류는 오히려 그들의 고정된 틀과 규칙 속에 갇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소멸의 길을 걷기 쉽다. 생리적으로 비주류적 흐름에 대해 지적질 하거나 자신들의 편견에 근거해 어설프게 비난하는 방식으로 속물적인 권력의 특성을 고백하기도 한다. 성을 쌓는 자는 언제나 성문을 견고하게 잠그고 성 밖으로 화살을 쏜다. 반면 유목적 흐름을 환영하고 합류하는 열려 있는 이들도 적지 않다. 성벽을 더 높게 쌓다가 스스로 유폐 당하느냐, 변화를 수용하고 탈영토화의 길을 걷느냐, 그것이 열쇠다. 비주류선언, 비주류가 주류임을 선포하는 것은 ‘말’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건 거대한 흐름 자체이며, 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일 뿐이다. 비주류선언은 몇몇 유명인이나 권위자가 하는 것도 아니다. 대중 즉 분자처럼 자유롭게 움직이는 개인들의 정동의 흐름이 그걸 조성하고 끌고 간다. 즉 비주류선언은 하나의 탈영토화 운동”이라고 지적했다.

 

필자는, 황산 님 위 내용의 글을 읽고, 평생 비주류로 살아왔다고 자신을 업신여긴, 구태를 벗어버리고, 나를 에워싸고 있던 두터운 각질을 드디어 벗어났다.

 

나는, 이제에서야 비주류에서 주류가 됐다. 드디어 비주류를, 그 신세를 탈각(脫殼), 해방(解放) 됐다. 글이, 이 처럼 중요하다는 사실을, 또다시 깨달았다. 아, 즐겁도다!“

 

황산 박사는 필자가 위에서 소개한 글 이후, 페이스 북에 쓴 글에서 또다시 비주류 문제를 다뤘다. 

 

이 글에서 “비주류의 결집은 주류와 다른 흐름이고 그래서 새로운 가치를 담고 있고 창조성이 있다. 낯설다. 게다가 기존의 규범이나 스타일을 벗어나 움직인다. 즉 주류의 질서와 구조의 외부에서 비껴나 일렁거린다.”면서 “비주류의 결집은 주류와 다른 흐름이고 그래서 새로운 가치를 담고 있고 창조성이 있다.”고 썼다. 이어 “권력과 이익의 전유(專有)는 주류 카르텔의 핵심적인 특성이다. 반면, 비주류는 이러한 권력과 이익을 탈피하고, 새로운 가치와 흐름을 추구하고 균등한 관계를 추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고 덧붙였다.

 

필자는 위의 글에서 “평생 비주류로 살아왔다고 자신을 업신여긴, 구태를 벗어버리고, 나를 에워싸고 있던 두터운 각질을 드디어 벗어났다. ”라고, 시인(是認)했었다. 

 

이제, 나(필자)는 주류다. 세상에 주류(主流) 아닌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힘이 없어 보이는 사람을 비주류로 내평개치는 사회는 건전한 사회가 아니다. 그렇다고, 스스로를 비주류(非主流)로 낮추면서, 세상을 한탄하는 사람은 바보다. 

 

이 세상에 사는 그 누구든, 주류(主流)로 살면 된다! 그 누구든, 사람은 새로운 것을 창조하면서 산다. 그게 삶의 요체이다. 나는 이제에서야,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아차렸도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신문사 발행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 person who belittles the world while lowering himself to the minority is a fool!

[Essay-like approach] “Moon Il-suk, I have finally broken away from the minority and become mainstream!”

- Moon Il-suk, publisher of a newspaper

 

On the evening of August 9, I had dinner with Dr. Hwang San (Doctor of Philosophy) at a restaurant near Insa-dong, Jongno-gu, Seoul.

I was moved after reading Dr. Hwang San’s article on Facebook discussing the mainstream and minority.

On August 2, I posted a post on Facebook titled “I have finally broken away from the minority and become mainstream!”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post.

“Facebook is a huge storehouse of knowledge. This is because people who know teach me things I don’t know from time to time. On August 2, I read an article written by my Facebook friend Hwang San (humanities researcher, Ph.D. in philosophy) and I sympathized with it.

I have been a journalist for 51 years and have confessed to being a non-mainstream journalist. This is because I have only been involved in weekly newspapers and online newspapers, not daily newspapers and public broadcasting. I was definitely not a mainstream journalist. I worked as the editor-in-chief of the weekly newspapers Saturday Newspaper (3 years) and Sunday Seoul (3 years). Since then, I have worked as the publisher of Weekly Hyundai (27 years) and Break News (21 years).

Through that process, at some point I began to think that I was a mainstream journalist. That point was when the internet world came into being. At some point, daily newspapers stopped selling on newsstands and the viewership ratings of public broadcasting fell to single digits. This is because the internet world came into being.

I have led Break News as the first generation of the internet. It has maintained the top ranking of internet media for the past 21 years. It was a proud mainstream. 10 million monthly visitors lined up.

But the world did not treat it as mainstream. Even though the world had changed drastically, it was still the world of legacy media (legacy system - established media). I had been living in the non-mainstream for a long time, and I had become accustomed to it, so I did not realize that the world had changed.

But after reading an article written by Hwang San (a humanities researcher), I finally understood why. In this article, Hwang San wrote, “In the realm of modern culture and literature, ‘non-mainstream’ no longer means the existence of a periphery. Rather, the non-mainstream is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mainstream, and becoming a non-mainstream mainstream trend.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mainstream is on the path to extinction or is required to transform itself. National knowledge based on cultural power or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state (Deleuze called this royal knowledge) will still be strong, but it will always create a new flow from the flow of minority knowledge and the periphery, thereby creating a crack in the existing flow.” He diagnosed that “the non-mainstream is made up of readers, writers, non-experts, non-scholars, independent researchers, and those who do not monopolize the media. In the past,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stream and the non-mainstream was clear, with the mainstream holding the academic and publishing worlds and setting the standards for culture and literature, and the non-mainstream quietly flowing as a periphery flow that conformed to or challenged this. However, the advent of the Internet era has broken down this boundary. Now, the public is no longer a one-sided recipient. They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xpress their voices, upload their own works directly to SNS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provide real-time feedback on the content of the writing, creating a new flow. This flow is the background for the non-mainstream to become mainstream and the cultural flow to be overturned.” In the following article, Hwangsan said, “The non-mainstream is no longer a voice from the periphery. They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the new mainstream, and are leading the flow of culture/writing/literature/publishing and reading. The mainstream is rather trapped in their fixed framework and rules, unable to accept change, and is likely to walk the path of extinction. They confess the vulgar characteristics of power by physiologically pointing out the non-mainstream flow or by making crude criticisms based on their own prejudices. Those who build castles always lock the gates tightly and shoot arrows outside the castl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open people who welcome and join the nomadic flow. The key is whether you build higher walls and become imprisoned yourself, or whether you accept change and walk the path of deterritorialization. Declaring the non-mainstream, declaring that the non-mainstream is the mainstream, is not done with ‘words.’ It is the great flow itself, and it is only an expression of it in language. Declaring the non-mainstream is not done by a few celebrities or authorities. The flow of emotions of the masses, that is, individuals who move freely like molecules, creates and leads it. In other words, he pointed out that the declaration of non-mainstream is a movement of deterritorialization.

After reading the above article by Hwangsan, I finally shed the old ways of despising myself for living as a non-mainstream my whole life, and finally shed the thick calluses that had surrounded me.

I have finally become mainstream from the non-mainstream. I have finally shed the shell and liberated myself from the non-mainstream. I have realized once again that writing is this important. Ah, how fun!”

After the article I introduced above, Dr. Hwangsan addressed the issue of non-mainstream again in a post on Facebook.

In this article, he said, “The gathering of non-mainstream is a different flow from the mainstream, and therefore contains new values ​​and is creative. It is unfamiliar. Moreover, it moves beyond existing norms or styles. In other words, it deviates from the mainstream order and structure and sways.” He wrote, “The gathering of the non-mainstream is a different flow from the mainstream, and therefore contains new values ​​and creativity.” He continued, “The monopoly of power and profit is the core characteristic of the mainstream cartel. On the other hand, the non-mainstream focuses on breaking away from this power and profit, pursuing new values ​​and flows, and pursuing equal relationships.” In the above article, the author admitted, “I have finally shed the old ways of looking down on myself for living as a non-mainstream my whole life, and the thick calluses that surrounded me.”

Now, I (the author) am the mainstream. Who in the world is not the mainstream? A society that criticizes those who seem powerless as non-mainstream is not a healthy society. However, those who belittle the world while lowering themselves to the non-mainstream are fools. Anyone living in this world, just live in the mainstream! Everyone lives by creating new things. That's the essence of life. I've finally figured out how to live in the world! moonilsuk@naver.com

 

*Author/Moon Il-suk. Poet. Newspaper publisher.

 

- Dr. Hwangsan (right - evening of August 9) and the author (Moon Il-seok - left).

- The author (Moon Il-seok) recently (2024.8.2.).

- The entire view of the Break News building (the building behind is the police station).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naver band URL복사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