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여론조사 꽃 “‘이재명’ 51.7%로 압도적 우세, 28.7%의 ‘김문수’와 23.0%p 격차”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l 기사입력 2025-05-16

본문듣기

가 -가 +

‘여론조사꽃’이 5월 12일부터 13일, 5월 14일부터 15일에 각각 이틀씩 진행한 전화면접조사(이하 동일) 결과를 합산, 분석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51.3%의 지지율로 ‘국민의힘’(31.0%)을 20.3%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꽃’이 지지여부와는 상관없이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는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전화면접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후보가 71.1%의 지지를 얻어, 국민의힘 ‘김문수’후보(22.4%)를 48.7%p 차이로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신당 ‘이준석’후보’는 1.3%로 조사됐으며, ‘없다’는 응답은 2.7%, ‘그 외 다른 후보’는 0.2%로 조사됐다.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같은 날 진행한 전화면접조사 결과를 합산하여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67.8%가 ‘정권을 교체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권을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은 28.5%에 그쳤다. 정권 교체 여론은 정권 연장보다 39.3%p 높았으며, 전체 응답자 3명 중 2명이 정권 교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선에 출마한 후보중 누구에게 투표할지 물은 전화면접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후보가 51.7%의 지지를 얻어, 국민의힘 ‘김문수’후보(28.7%)를 23.0%p 차이로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신당 ‘이준석’후보’는 7.4%, ‘투표할 인물이 없다’는 응답은 9.6%, ‘그 외 다른 인물’은 0.9%로 조사되었다.

 

‘여론조사꽃’이 지지여부와는 상관없이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는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전화면접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후보가 71.1%의 지지를 얻어, 국민의힘 ‘김문수’후보(22.4%)를 48.7%p 차이로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신당 ‘이준석’후보’는 1.3%로 조사됐으며, ‘없다’는 응답은 2.7%, ‘그 외 다른 후보’는 0.2%로 조사됐다.

 

이번 대선에서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지 묻는 전화면접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5.5%의 지지를 얻어 33.7%를 기록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21.8%p 차이로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다른 후보’ 1.8%, ‘투표할 후보가 없다’는 응답은 8.5%로 집계됐다.

 

한편, 정당지지율의 권역별로는 서울(50.0%), 경인권(54.8%), 충청권(51.4%), 강원·제주(49.8%)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우위를 점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79.8%로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구·경북에서 52.9%의 지지율로 더불어민주당(29.6%)을 23.3%p 앞서며 유일한 강세 지역을 기록했다. 부·울·경 지역에서는 양당의 지지율이 초박빙의 접전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 모든 연령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70세 이상은 ‘국민의힘’이 우세했다. 60대는 두 정당이 비등한 지지율을 얻었다. 성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남녀 모두 ‘더불어민주당’ 지지가 높았지만, 18~29세 연령층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했다. 18~29세 남성층은 ‘국민의힘’ 24.0%, ‘더불어민주당’ 25.3%로 팽팽한 접전을 보였으나, 18~29세 여성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57.6%, ‘국민의힘’은 16.2%로, 무려 41.4%p의 격차가 벌어졌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82.4%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했고, 보수층의 68.0%는 ‘국민의힘’을 선택했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56.7%의 지지를 얻으며 ‘국민의힘’(20.9%)을 35.8%p 차이로 압도했다.

 

‘정권 교체’ 67.8% 대 ‘정권 연장’ 28.5%(격차 39.3%p), 국민 3명 중 2명 정권교체 원해

 

이번 조사에서 정권교체와 정권연장 여부에 따른 결과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정권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88.1%가 교체해야 한다고 응답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고, 서울(67.8%), 경인권(71.2%), 충청권(64.7%), 부·울·경(62.4%), 강원·제주(66.6%)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교체 여론이 60%를 넘었다. 보수성향이 강한 대구·경북에서는 ‘정권 교체’(48.4%)가 ‘정권 연장’(47.2%)과 팽팽하게 겨뤘다. 

 

연령별로는 60대 이하 모든 세대에서 ‘정권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특히 40대는 83.3%가 교체를 원했고, 50대는 77.6%, 18~29세 73.6%, 30대는 69.6%가 교체를 원해, 청장년층 전반에서 10명 중 7명은 정권 교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정권 연장’이 45.7%, ‘정권 교체’가 45.6%로 팽팽하게 갈렸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정권 교체’응답이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정당 지지층 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7.7%,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96.6%, 개혁신당 지지층의 81.6%가 압도적으로 ‘정권 교체’에 응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80.1%가 ‘정권 연장’을 원했다. 무당층에서도 63.3%가 ‘정권 교체’를 선택해, 지지 정당이 없는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교체 여론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정권 연장’ 18.8%, 격차 44.5%p).

 

투표의향에 따라 살펴봐도, 적극투표층의 69.1%, 소극 투표층의 64.1%가 ‘정권 교체’를 지지해, 실제 투표 가능성이 높은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3.7%, 중도층의 76.2%가 ‘정권 교체’에 찬성했으며, 보수층은 61.9%가 ‘정권 연장’을 지지했다.

 

가상 대결: ‘이재명’ 51.7%로 압도적 우세, 28.7%의 ‘김문수’와 23.0%p 격차. 이준석은 7.4% 얻어.

 

이번 조사에서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지 물은 조사결과에서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이재명’이 우위를 점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79.4%의 압도적 지지를 확보했으며, 서울(50.7%), 경인권(55.4%), 충청권(50.0%)에서도 과반을 넘겼다. 대구·경북에서만 ‘김문수’(50.4%)가 ‘이재명’(30.4%)을 20.0%p 격차로 우세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하 모든 연령층에서 ‘이재명’이 우세했다. 40대에서는 72.0%의 지지를 얻어 ‘김문수’(15.6%)보다 56.4%p의 압도적인 격차를 보였고, 50대(67.6%)에서도 ‘이재명’이 절대적 우위를 보였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김문수’가 19.4%p 앞섰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이재명’이 과반의 지지를 받으며 우위를 점했다.

 

30대 이하 연령층에서 두 자리수 지지율을 기록한 ‘이준석’은 성별에 따라 지지세가 뚜렷하게 갈렸다. 18~29세 남성층에서는 ‘이준석’이 30.7%를 기록하며 후보들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었지만, 여성층에서는 6.3%의 지지율에 그쳤고, 30대 남성에서도 21.0%의 지지율을 얻었지만 여성은 4.1%에 그쳐, ‘이준석’의 지지는 20・30 남성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계층에서도 ‘이재명’이 강세를 보였다. 자영업층(55.8%), 화이트칼라층(58.4%), 블루칼라층(54.5%) 등 주요 직업군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

 

정당 지지층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4.3%,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87.0%가 ‘이재명’을 지지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5.6%는 ‘김문수’를 선택했다. 개혁신당 지지층의 81.7%는 ‘이준석’을 지지했다. 무당층에서는 ‘투표할 인물이 없다’ 는 응답이 5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김문수’(13.5%), ‘이준석’(11.9%), ‘이재명’(8.4%), ‘그 외 다른 인물’(1.9%) 순이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84.4%가 ‘이재명’을, 보수층의 64.1%는 ‘김문수’를 지지했다. 특히, 중도층에서는 ‘이재명’이 56.6%를 얻으며 ‘김문수’(19.1%)를 37.5%p 차이로 압도했다. ‘이준석’은 중도층에서 9.7%의 지지율을 얻었다. ‘이재명’은 중도층에서도 확고한 우위를 점하며 전 계층에서 고른 지지를 확인한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 가장 높을 것(71.1%) 다른 모든 후보 압도.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는 누구인가? 란 질문에 권역별로는, 모든 지역에서 ‘이재명’이 압도적 우세를 보였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무려 91.2%가 ‘이재명‘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으며, 서울(73.1%), 경인권(72.8%), 충청권(69.6%)과 강원·제주(71.0%)에서도 10명 중 7명 가량이 같은 의견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도 ‘이재명’은 전 연령층에서 우위를 점했다. 40대(82.9%)와 18~29세(81.4%)에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이재명’의 당선을 예상했으며, 30대와 50대도 각각 75% 이상이 같은 응답을 했다. 70세 이상에서는 ‘이재명’(49.2%)이 ‘김문수’(41.8%)를 7.4%p 차이로 앞섰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약 70% 가량이 ‘이재명’이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응답했다.

 

투표의향에 따른 분석에서도, 적극투표층의 71.7%, 소극 투표층의 71.9%가 ‘이재명’의 당선을 기대해, 실제 투표 참여 가능성이 높은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이재명’이 확고한 우위를 보였다.

 

정당 지지층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2%,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100%가 ‘이재명’의 당선을 전망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65.2%는 ‘김문수’의 당선을 기대했다. 무당층에서는 ‘이재명’이 62.9%로 가장 높았고,  ‘없다’(17.3%), ‘김문수’(11.9%), ‘이준석’(2.5%), ‘그 외 다른 인물’(0.7%) 순이었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92.8%가 ‘이재명’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으며, 보수층에서는 ‘김문수’가 50.2%로 가장 높아 이념성향 별 응답에 차이를 보였다. 중도층에서는 ‘이재명’이 79.3%를 얻어 ‘김문수’(14.8%)와  ‘이준석’(1.5%)을 압도했다. ‘이재명’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로 확고하고 고른 지지를 확인한 셈이다.

 

양자 가상대결, ‘이재명’ 55.5% 대 ‘김문수’ 33.7% (21.8%p 격차)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이재명’은 우위를 점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83.9%를 기록해, ‘김문수’(8.1%)를 75.8%p 차이로 크게 앞섰으며,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제주에서도 ‘이재명’이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은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김문수’(56.0%)가 ‘이재명’(32.7%)을 23.3%p 격차로 크게 앞섰다.

 

연령별로는 50대 이하 전 연령층에서 ‘이재명’이 우세했다. 60대에서는 ‘이재명’(47.2%)과 ‘김문수’(46.5%)가 0.7%p 격차로 초박빙 접전을 벌였고, 70세 이상에서는 ‘김문수’(57.5%)가 ‘이재명’(34.2%)을 23.3%p 격차로 크게 앞섰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이재명’이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으며 우위를 보였다. 다만 성별과 연령별 세부 분석에서 18~29세 남성층에서는 ‘김문수’가 38.0%를 기록해 ‘이재명’(33.7%)을 4.3%p 차이로 앞섰지만 18~29세 여성층에서는 ‘이재명’이 65.7%를 얻어 ‘김문수’(18.0%)를 47.7%p의 격차로 압도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6.9%,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92.9%가 ‘이재명’을 선택해 높은 결집력을 보였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김문수’가 91.5%의 결집도를 나타냈다. 개혁신당 지지층은 ‘이재명’ 18.4%, ‘김문수’ 33.8%의 지지율을 보였다. 무당층에서는 ‘투표할 후보가 없다’는 응답이 49.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김문수’(23.9%), ‘이재명’(19.0%), ‘그 외 다른 후보’(4.5%) 순이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는 ‘이재명’이 88.1%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고, 중도층에서도 ‘이재명’이 62.1%를 기록해 과반을 넘겼다. 반면, 중도층에서 ‘김문수’는 25.4%에 그쳤다. 보수층에서는 ‘김문수’가 69.0%로 보수층의 결집을 이끌었으며 ‘이재명’은 20.2%에 머물렀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12명을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기간은 2025년 5월 14일~ 5월 15일 진행 (2일간),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2%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oll Flower “Lee Jae-myung has an overwhelming lead with 51.7%, 23.0%p gap with ‘Kim Moon-soo’ at 28.7%”

 

Lee Jae-myung’s chances of winning are 71.1%... People’s Power Party’s Kim Moon-soo (22.4%) is far ahead with a 48.7%p gap

 

According to the combined analysis of the results of telephone interviews conducted by ‘Poll Flower’ on May 12-13 and May 14-15 (the same),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as found to be 20.3%p ahead of the ‘People’s Power Party’ (31.0%) with a 51.3% approval rating.

 

According to the combined analysis of the telephone interviews conducted on the same day, 67.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be changed.’ The opinion that ‘the regime should be extended’ was only 28.5%. Public opinion on regime change was 39.3%p higher than the extension of the regime, and 2 out of 3 respondents wanted regime change.

 

According to a telephone interview survey asking which candidate they would vote for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received 51.7% of the votes, leading the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Kim Moon-soo’ (28.7%) by 23.0%p. Reform New Party candidate ‘Lee Jun-seok’ received 7.4%, while 9.6% responded that they ‘had no one to vote for’ and 0.9% responded that they ‘had no other candidate’.

 

Regardless of whether they supported ‘Public Opinion Poll Flower’, they asked which candidate they thought was most likely to be 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lephone interview surve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s candidate Lee Jae-myung received 71.1% of the votes, leading the People Power Party's candidate Kim Moon-soo (22.4%) by a wide margin of 48.7%. The Reform New Party's candidate Lee Jun-seok received 1.3%, while the response "no" was 2.7% and "other candidates" was 0.2%.

 

In the telephone interview survey asking who they would vote for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the Democratic Party's candidate Lee Jae-myung received 55.5% of the votes, leading the People Power Party's candidate Kim Moon-soo (33.7%) by a wide margin of 21.8%. The response "other candidates" was 1.8% and "no candidate to vote for" was 8.5%.

 

Meanwhile, by region,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took the lead in most regions, including Seoul (50.0%), Gyeongin (54.8%), Chungcheong (51.4%), and Gangwon and Jeju (49.8%). In particular, it received overwhelming support in the Honam region with 79.8%.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Power Party recorded the only strong region in Daegu and Gyeongbuk with 52.9% support, beating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29.6%) by 23.3%p. In the Bu·Ulsan·Gyeongnam region, the support rates for the two parties were extremely close.

 

By age group,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took the lead in all age groups under 50, while the People Power Party took the lead in those over 70. In the 60s, the two parties received equal support rates. By gender,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as generally supported by both men and women, bu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18–29 age group. Among men aged 18-29, the People Power Party was in a tight race with 24.0% and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25.3%, but among women aged 18-29,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received 57.6% and the People Power Party received 16.2%, a whopping 41.4%p gap.

 

By ideological inclination, 82.4% of the progressives supported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hile 68.0% of the conservatives chose the People Power Party. Among the moderate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received 56.7% of support, overwhelming the People Power Party (20.9%) by 35.8%p.

 

‘Reform change’ 67.8% vs ‘Reform extension’ 28.5% (39.3%p gap), 2 out of 3 citizens want reform

 

In this survey, the results of the reform and extension of the government showed that ‘reform’ was dominant in all regions except Daegu and Gyeongbuk. In particular, 88.1% respon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be replaced, the highest rate in the country, and in most regions including Seoul (67.8%), Gyeongin area (71.2%), Chungcheong area (64.7%), Busan, Ulsan, Gyeonggi (62.4%), and Gangwon and Jeju (66.6%), the public opinion on reform exceeded 60%. In Daegu and Gyeongbuk, which have strong conservative tendencies, ‘reform change’ (48.4%) was in a close race with ‘reform extension’ (47.2%).

 

By age, ‘reform change’ was dominant in all generations under 60. In particular, 83.3% of those in their 40s wanted a change, 77.6% of those in their 50s, 73.6% of those aged 18-29, and 69.6% of those in their 30s wanted a change, showing that 7 out of 10 young and middle-aged people overall wanted a change in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among those aged 70 and older, the split was even, with 45.7% wanting to “extend the government” and 45.6% wanting to “change the government.” By gender, both men and women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change the govern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ender.

 

By party supporters, 97.7% of Democratic Party supporters, 96.6% of the Fatherland Innovation Party supporters, and 81.6% of the New Reform Party supporters overwhelmingly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change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80.1% of the People Power Party supporters wanted to “extend the government.” Even among the non-partisan group, 63.3% chose ‘regime change,’ showing that even among voters without a supporting party, there was a strong opinion for change (‘regime extension’ 18.8%, gap 44.5%p).

 

When looking at voting intentions, 69.1% of active voters and 64.1% of passive voters supported ‘regime change,’ showing that even among voters with a high actual possibility of voting, there was a strong opinion for change.

 

By ideological tendency, 93.7% of the progressive group and 76.2% of the moderate group supported ‘regime change,’ while 61.9% of the conservative group supported ‘regime extension.’

 

Hypothetical matchup: ‘Lee Jae-myung’ overwhelmingly leads with 51.7%, 23.0%p gap with ‘Kim Moon-soo’ with 28.7%. Lee Jun-seok got 7.4%.

 

In this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asking who to vote for showed that, by region, ‘Lee Jae-myung’ had the upper hand in all regions except Daegu and Gyeongbuk. In particular, he secured an overwhelming 79.4% support in the Honam region, and also exceeded the majority in Seoul (50.7%), Gyeongin region (55.4%), and Chungcheong region (50.0%). In Daegu and Gyeongbuk, ‘Kim Moon-soo’ (50.4%) was ahead of ‘Lee Jae-myung’ (30.4%) by 20.0%p.

 

By age group, ‘Lee Jae-myung’ was ahead in all age groups under 50. In the 40s, he received 72.0% support, showing an overwhelming 56.4%p gap over ‘Kim Moon-soo’ (15.6%), and in the 50s (67.6%), ‘Lee Jae-myung’ also had an absolute upper hand. On the other hand, in the 70s and older, ‘Kim Moon-soo’ was ahead by 19.4%p. In terms of gender, ‘Lee Jae-myung’ gained the upper hand with majority support from both men and women.

 

‘Lee Jun-seok’, who recorded double-digit support rates among those in their 30s or younger, had a clear division in support by gender. Among men aged 18-29, ‘Lee Jun-seok’ recorded 30.7%, the highest support rate among the candidates, but only 6.3% among women. In addition, he received 21.0% support from men in their 30s, but only 4.1% among women, showing that ‘Lee Jun-seok’s’ support was concentrated among men in their 20s and 30s.

 

‘Lee Jae-myung’ also showed strength among the economically active class. He received more than half of the support from major occupational groups such as the self-employed (55.8%), white-collar workers (58.4%), and blue-collar workers (54.5%).

 

By party supporters, 94.3%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upporters and 87.0% of the Fatherland Innovation Party supporters supported ‘Lee Jae-myung’, while 85.6% of the People Power Party supporters chose ‘Kim Moon-soo’. 81.7% of the Reform New Party supporters supported ‘Lee Jun-seok’. Among the non-partisan group, the response ‘I have no one to vote for’ was the most common at 56.8%, followed by ‘Kim Moon-soo’ (13.5%), ‘Lee Jun-seok’ (11.9%), ‘Lee Jae-myung’ (8.4%), and ‘other people’ (1.9%).

 

By ideological tendency, 84.4% of the progressive group supported ‘Lee Jae-myung’, while 64.1% of the conservative group supported ‘Kim Moon-soo’. In particular, in the middle class, ‘Lee Jae-myung’ won 56.6%, overwhelming ‘Kim Moon-soo’ (19.1%) by 37.5%p. ‘Lee Jun-seok’ won 9.7% of the middle class. ‘Lee Jae-myung’ has a firm lead in the middle class as well, confirming even support from all classes.

 

The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has the highest chance of being elected (71.1%), overwhelming all other candidate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o is the candidate with the highest chance of being elected?’, ‘Lee Jae-myung’ showed an overwhelming lead in all regions. In particular, in the Honam region, a whopping 91.2% responded that ‘Lee Jae-myung’ has a high chance of being elected, and in Seoul (73.1%), Gyeongin region (72.8%), Chungcheong region (69.6%), and Gangwon and Jeju (71.0%), about 7 out of 10 people expressed the same opinion.

 

Even by age group, ‘Lee Jae-myung’ had an advantage in all age groups. In the 40s (82.9%) and 18-29 years old (81.4%), more than 8 out of 10 people expected ‘Lee Jae-myung’ to win, and more than 75% of those in their 30s and 50s each gave the same response. In the 70s and older age group, ‘Lee Jae-myung’ (49.2%) was ahead of ‘Kim Moon-soo’ (41.8%) by 7.4%p. In terms of gender, about 70% of both men and women responded that ‘Lee Jae-myung’ had the highest possibility of winning.

 

In the analysis by voting intention, 71.7% of active voters and 71.9% of passive voters expected ‘Lee Jae-myung’ to win, showing a firm advantage even among voters who are likely to actually vote.

 

By party supporters, 98.2%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upporters and 100% of the Fatherland Innovation Party supporters expected Lee Jae-myung to win. On the other hand, 65.2% of the People Power Party supporters expected Kim Moon-soo to win. Among the non-partisan group, Lee Jae-myung was the highest at 62.9%, followed by “no” (17.3%), “Kim Moon-soo” (11.9%), “Lee Jun-seok” (2.5%), and “other people” (0.7%).

 

By ideological tendency, 92.8% of the progressive group highly evaluated Lee Jae-myung’s chances of winning, while among the conservative group, “Kim Moon-soo” was the highest at 50.2%, showing differences in responses by ideological tendency. Among the moderate group, Lee Jae-myung received 79.3%, overwhelmingly beating Kim Moon-soo (14.8%) and Lee Jun-seok (1.5%). It is confirmed that candidate ‘Lee Jae-myung’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being elected, and has solid and even support.

 

In a hypothetical matchup between the two, ‘Lee Jae-myung’ 55.5% vs. ‘Kim Moon-soo’ 33.7% (21.8%p gap)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o they would vote for, ‘Lee Jae-myung’ had the upper hand in all regions except Daegu and Gyeongbuk. In particular, in the Honam region, he recorded 83.9%, beating ‘Kim Moon-soo’ (8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브레이크뉴스.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