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갑)(사진제공=서영교사무실)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중랑=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서영교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중랑갑,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은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기존 8세 미만에서 18세 미만으로 대폭 확대하고, 지급액을 두 배로 인상하는 ‘아동수당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18세 미만으로 확대 ▲기본 지급액을 월 20만 원으로 인상 ▲인구감소지역 아동에 대한 추가 수당 신설 ▲지자체 조례에 따른 지역사랑상품권 지급 가능 등 현행 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① “8세 벽을 허물다” – 지급연령 18세 미만까지 전면 확대
현행법상 8세 미만까지만 지급되는 아동수당은 실제 양육비가 급증하는 학령기 이후의 아동을 배제하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개정안은 지급 연령을 ‘18세 미만’으로 상향함으로써 ‘행복한 출생, 행복한 양육, 행복한 가족’을 위해 국가가 함께 하는 체계로 전환한다.
② “두 배 지원, 체감복지 실현” – 월 20만 원으로 인상
아동수당은 2018년 도입 이래 단 한 번도 인상되지 않아, 이번 개정안은 기본 지급액을 10만 원 → 20만 원으로 두 배 인상하는 내용을 담았다.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아동수당을 18세 또는 그 이상까지 지급한다. 독일은 가족수 구분 없이 만 18세까지 아동수당을 주고 있으며 매월 한화 약 30만 원을 지급한다. 프랑스는 만 20세까지 가족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③ “지역상생발전 지원한다” – 인구감소지역 아동에 ‘추가 수당’
개정안은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에게 추가 수당을 지급하는 조항을 신설했다. 이에 따라 ▲8세 미만 아동은 10만원 ▲18세 미만 아동은 5만원을 추가로 지원받게 된다. 지역균형발전과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적극적 재정 개입이다.
④ “지역경제도 살린다” – 지역사랑상품권 지급 가능
개정안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아동수당 전부 또는 일부를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허용해, 지역 소비 촉진 및 소상공인 지원 효과도 함께 기대된다.
서영교 국회의원은 “이번 개정안은 단순한 복지 확대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로 가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행복한 출생, 행복한 양육, 행복한 가족이 형성되는 데 도움을 주고, 향후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ssemblyman Seo Young-kyo, representative proposing a revision to the Child Allowance Act!
"We will create a Republic of Korea that can raise our children better"
- Reporter Ha In-gyu
(Jungnang=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Assemblyman Seo Young-kyo (Democratic Party of Korea, Jungnang-gap, Seoul,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has proposed a 'Partial Amendment to the Child Allowance Act' that significantly expands the child allowance payment age from under 8 to under 18 and doubles the payment amount.
This revision includes ▲ expanding the age of child allowance payment to under 18 years old ▲ raising the basic payment amount to 200,000 won per month ▲ establishing additional allowances for children in areas with declining population ▲ allowing local love gift certificates to be issued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ordinances, etc.,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and strengthen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① “Breaking down the 8-year-old wall” – Comprehensive expansion of the payment age to under 18 years old
Currently, the child allowance, which is only paid to children under 8 years old under the law, has been constantly criticized for excluding children after school age, when actual child-rearing costs increase rapidly. The revision raises the payment age to ‘under 18 years old’, thereby transforming the system into one in which the state participates in ‘happy birth, happy parenting, and happy families.’
② “Double support, realize perceived welfare” – Increase to KRW 200,000 per month
Since its introduction in 2018, the child allowance has not been increased even once, so this revision includes doubling the basic payment amount from KRW 100,000 to KRW 200,000. Major advanc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lready provide child allowances until the age of 18 or older. Germany provides child allowances regardless of family size until the age of 18, and pays approximately KRW 300,000 per month. France provides family allowances until the age of 20.
③ “Supporting regional mutual development” – ‘additional allowance’ for children in depopulated areas
The revision newly established a provision to provide additional allowances to children living in depopulated areas. Accordingly, ▲children under the age of 8 will receive an additional KRW 100,000 and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ill receive an additional KRW 50,000. This is an active financial intervention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respond to the extinction of local regions.
④ “It also saves the local economy” – Local Love Gift Certificates can be issued
The revised bill allows all or part of the child allowance to be paid as local love gift certificates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ordinances, so it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promoting local consumption and supporting small business owners.
Assemblyman Seo Young-kyo said, “This revision is not simply an expansion of welfare, but will be a turning point for Korea to become a country where it is good to raise children.” He added, “I hope it will help create happy births, happy parenting, and happy families, and become a growth engine for Korea in the future.”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